산업동향
[BIO ECONOMY BRIEF] 중국 의약품 공동구매 입찰 정책 변화와 결과
- 등록일2021-02-09
- 조회수481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1-14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 의약품#의약품 공동구매#의약품
- 첨부파일
중국 의약품 공동구매 입찰 정책 변화와 결과
중국 의약품 시장
● 중국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의 의약품 시장으로, 시장규모와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다국적 제약사의 주요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음
- 중국 의약품 시장은 2019년 기준 1,416억 달러로 글로벌 시장의 11.3%를 차지, 2024년 까지 연평균 5~8%의 성장률을 보이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
중국 의약품 조달정책 변화
● 중국은 약값 인하, 의료비용 부담 절감, 유통환경 개선 등을 위해 정부 주도로 양표제1), 의약 품 공동구매(조달)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
- 중국 의약품 공동구매(조달) 방식은 의료기관 중심에서 정부 주도로, 지방에서 성급 도시, 전 지역으로 변화
● 중국은 보편적 의료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를 위해 2009년부터 필수적인 의료에 대한 접근 및 구입능력 향상을 위한 급진적 의료 개혁 단행 중
- 2016년에 환자 중심으로 가치에 기반한 헬스케어에 집중하고자 ‘Health China 2030’이 추진되었으며, 이러한 배경 하에 국가 의약품 조달 개혁 시행
“4+7”2) 의약품 조달 시범사업 : 중국의 의약품 입찰 개혁의 시작
● 2018년 6월, 중국 정부는 새로운 약가 및 조달 개혁을 단행하고, 4개의 직할시와 7개의 성에서 31개 의약품에 대한 중앙집권식 국가 의약품 조달 시범계획 추진
● 2018년 11월 11개 도시(4+7 도시)를 대상으로 정부 주도하에 의약품 공동구매 입찰제도가 시범적으로 운영된 이후, 지역, 구매기관 및 공동구매 품목 대상이 점차 확대
- (지역) 4+7 도시 → (4+7 도시, 허베이성(河北省) 및 푸젠성(福建省)을 제외한) 25개 성2) (자치구 포함) → 전국
- (구매기관) 공립 의료기관 → 공립 의료기관, 일부 군 의료기관 및 사회 운영 의료기관 → 모든 의료기관(소매 약국도 참여 가능)
- (공동구매 품목 수) 31개 → 25개 → 33개 → 56개
* 연합 지역 의약품 공동구매 입찰에서는 4+7 도시 의약품 공동구매 입찰에서 낙찰된 25개 품목만을 대상으로 진행
중국 의약품 입찰 개혁 결과
● 정부 주도 아래 의약품 공동구매 대량 입찰이 시행되면서 의약품의 가격이 큰 폭으로 인하되었고, 글로벌 제약사들은 중국 현지 제네릭 기업들과 가격경쟁에서 밀리면서 중국 시장진출 전략에 변화를 모색
- 일라이 릴리의 조현병 치료제와 화이자 비아그라는 중국 치루파마(Qilu Pharma, 斉魯製薬)에 의해 입찰 실패
- 화이자의 류마티스관절염약도 중국의 제네릭 4종에 자리를 내주었으며, 일부 글로벌 제약 사들은 80% 이상 인하된 금액으로 입찰 성공
*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바이엘 등이 80%까지 인하된 가격으로 일부 계약 성공
- 이에 따라, 글로벌 제약사들은 혁신 신약을 통한 중국 시장 확대 모색 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