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BIO ECONOMY BRIEF] 화이자 기업동향

  • 등록일2021-06-01
  • 조회수427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5-27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이자#코로나 백신#백신산업
  • 첨부파일


[BIO ECONOMY BRIEF] 화이자 기업동향


◈목차


1.  Pfizer 기업 동향 및 파트너쉽 기회

 

 1) Pfizer 프렌차이즈 제품 및 매출 현황
 2) Pfizer 임상 시험 동향
 3) Pfizer R&D 파트너쉽 관심 분야
 4) 유전자치료제 기술과 플랫폼에 특별한 관심
 5) Pfizer 파트너쉽 및 투자 동향
 

2. 요약
 
 

◈본문


1. Pfizer 기업 동향 및 파트너쉽 기회
1) Pfizer 프렌차이즈 제품 및 매출 현황
● Pfizer의 제품 카테고리는 Oncology, Inflammation & Immunology, Internal Medicine, Vaccine, Rare Diseases, Hospital (Anti-infective) 분야로 구분되어지며, 주요 in-line brand로는 유방암 항암제 Ibrance®, 폐렴구균 백신 Prevenar13®, 류마티스성 면역질환 치 료제 Xeljanz®, 아밀로이드성 심근병증 치료제 Vyndamax®가 있음. 이 밖에도 Eliquis®(w/BMS)와 Xtandi®(w/ Astellas)에 대하여 판매제휴를 맺어 제품 판매 중임.

● 항암제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전체 25% 수준으로 가장 큰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CDK inhibitor 치료제 Ibrance®의 매출 성장이 항암제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그 외 희귀질환 제품 매출 성장세는 전년 대비 29% 증가하면서 눈에 띄게 성장했고,면역질환 분야 치료제 매출은 오히려 4% 감소함(표 1).

● 한편, Pfizer는 바이오시밀러 시장 경쟁에 뛰어들어 Inflectra ®(infliximab),Nivestym ®(filgrastim), Retacrit ®(epoetin alfa), Ruxience®(rituximab),Trazimera®(trastuzumab), Zirabev®(bevacizumab) 등 총 6개 바이오시밀러를 판매 중임. 이외에도 adalimumab 바이오시밀러의 FDA 허가를 획득하면서, 곧 상업화가 예상됨. 셀트리온, 암젠 등 기존 바이오시밀러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보다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입 이 늦었다는 점을 의식해 파격적인 가격할인율을 적용하면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1.png



2) Pfizer 임상 시험 동향
● Pfizer는 Oncology, Inflammation & Immunology, Internal Medicine, Vaccine, Rare Diseases, Hospital (Anti-infective) 분야에 집중적으로 R&D 투자하고 있음. 현재 총 95건 의 파이프라인(임상1상 27건, 임상2상 35건, 임상3상 24건, 등록단계 9건)을 개발하고 있 으며, 그 중 Oncology와 Immunology 분야가 전체 57건으로 전체 60%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3.png

- Pfizer의 프렌차이즈 항암제 CDK inhibitor Ibrance®의 적응증 확장과 함께 추가적으로 유방암 치료를 위한 CDK inhibitor를 다수 개발 중임(PF-06873600, PF07104091, PF-07220060). first-in-class CDK inhibitor(Ibrance®) 출시 경험을 바탕으로 CDK 시장 지배를 목표로 함. Oncology 분야 late stage pipeline의 경우 Bavencio®, Lorbrenza®, Xtandi® 등 기존 브랜드의 적응증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임상1상 단계 의 early-stage pipeline의 경우 ADC(antibody drug conjugate), Bispecific antibody(Tcell engager), Epigenetic modifier 등 모달리티의 다양성을 추가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