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항바이러스 섬유 산업동향
- 등록일2022-10-06
- 조회수311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9-22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항바이러스 섬유
- 첨부파일
항바이러스 섬유 산업동향
◈ 목차
⑴ 항바이러스 섬유 기술개요
⑵ 주요 현황
⑶ 시사점 및 정책제안
◈본문
■ 항바이러스 섬유 기술개요
○ 사회적 배경
- 14세기의 흑사병은 유럽전역에 퍼져서 약 1억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고, 1918년 스페인 독감은 유럽, 미국, 한국에 이르기까지 널리 퍼져 5천만 명 이상의 사망자 발생
- 21세기에 들어서도 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신종 인플루엔자 A, 지카 바이러스, 최근의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팬데믹에 이르기까지 현대의 신종 감염병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됨
- 항바이러스 기능이 부여된 섬유는 감염원의 전파 방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 바이러스는 일반적인 표면에서 최대 2주 이상 생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항바이러스 섬유에서는 빠르게 사멸되어 감염과 재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
○ 항바이러스 섬유
- 바이러스는 유전물질, 이를 둘러싸는 보호 껍질과 단백질로 구성되며, 숙주세포에 침투한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서 유전물질의 복제와 단백질 합성을 통해 증식함
- 항바이러스 물질은 바이러스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바이러스의 세포침투를 막아내거나, 증식 및 방출 억제를 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함
-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항바이러스제(인터페론,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 등)를 개발하였으나, 본 리포트에서는 약제가 아닌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일반 재료들을 금속계, 탄소계, 유기계로 분류하여 서술하고자 함
- 항바이러스 섬유는 항바이러스성 물질을 활용해 섬유를 제조하거나, 항바이러스 물질을 섬유에 형성시켜 섬유 표면에서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또는 사멸시킬 수 있는 섬유를 의미함
○ 항바이러스 섬유의 활용
- 많은 환자들로 붐비는 의료시설은 다른 시설보다 감염의 위험성이 높기에 의료 환경에서 항바이러스 섬유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 의료시설에서 활용되는 의복, 수술용 마스크, 환자용 침상, 공조 필터 등에 항바이러스 섬유가 활용되면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항생제 사용, 감염 치료, 인건비, 세탁비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코로나19 이후로 개인 방역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히 증가했고, 특히 마스크는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이 되었음. 항바이러스 마스크를 활용하면 마스크의 교체, 착탈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차감염에 대한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음
- 또한, 아파트, 대형 건물, 병원 등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 시설에 항바이러스 필터를 활용하면 공조 필터의 교체 시 필터에 걸러진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원격협진 현황분석과 서비스 확대전략
-
다음글
- 중국 진단시약 시장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