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연구중심병원 R&D 사업 동향
- 등록일2022-10-13
- 조회수3114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2-10-07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중심병원
- 첨부파일
연구중심병원 R&D 사업 동향
◈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연구중심병원 개요
2.1.1. 연구중심병원사업 이해
2.1.2. 해외 사업모델
2.2. 연구중심병원 R&D 사업 현황
2.2.1. 연구중심병원 지정
2.2.2. 연구중심병원 육성R&D
2.2.3. 연구중심병원 과제 수행성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
1. 서론
인구의 고령화 및 팬데믹 발생 등으로 인해 건강과 비대면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와 관련된 의료기술이 지속적으로 발달하면서 바이오헬스 분야 시장의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1]. 특히 최근 COVID-19 발생으로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의료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바이오헬스 산업의 주체로서 ‘병원’에 대한 관심과 역량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보통 산·학·연으로 언급되는 기업, 대학 그리고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을 연구의 주체로 생각해온 것과는 다른 최근에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병원을 연구개발 주체로 인식하게 된 변화의 기점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진행한 연구중심병원(Research-driven Hospitals) 지정 및 육성 R&D 사업을 꼽을 수 있다. 2013년을 기점으로 10곳의 연구중심병원을 지정하고, 육성 R&D 사업을 통해 병원 중심의 중개연구를 활성화하며, 산출된 연구성과를 기술사업화에 활용을 유도하였다. 산·학·연·병·관 협력기반 바이오헬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외에 주요국들에서는 이미 병원의 연구 활성화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은 CTSAs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Awards, 2006년~) 사업을 그리고 영국은 AHSCs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s, 2009년~) 사업 추진을 통해 연구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를 기반으로 병원 중심의 중개연구 및 기술사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몇몇의 선진국들은 병원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헬스 생태계 확립을 앞서 진행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연구중심병원의 역할의 진화를 촉진하기 위해 그간 추진되었던 연구중심병원 R&D 사업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연구중심병원 개요
2.1.1. 연구중심병원사업 이해
인간의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보건의료산업은 기타 산업 분야와 달리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을 통과해야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특성이 있다. 허나 기초연구 단계의 연구결과가 임상에서 확인되지 못하거나, 미충족 의료수요에 기반하지 않은 성과는 최종 의료현장에서 활용되지 못하는 등 보건의료 연구의 생산성 저하에 대한 지적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이런 문제들이 부각됨에 따라 병원의 중개연구 개념이 등장하였고, 이는 기초연구와 연계된 임상 적용 가능 기술로의 개발(bench to bedside)과 임상연구에서 기반한 기초연구 촉진(bedside to bench)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병원은 진료,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며 미충족 의료수요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기술개발의 원천이면서 개발 제품의 최종 수요처로서 보건의료 R&D에 있어 연구 핵심주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진료 중심의 병원 시스템과 수익 확보의 한계로, 우수한 연구 인적자원이 될 수 있는 임상의가 진료 이외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접근하기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우수한 연구 인적자원과 임상 인프라를 활용하고 국내 병원을 중심으로 보건의료 R&D 성과 창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2013년 초 국내 10개 병원을 연구중심병원으로 최초 지정하였다. 해당 병원들은 ‘연구중심병원’이라는 법정 명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시행될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에 대한 지원 자격도 함께 얻었다. 이는 진료 위주의 병원 시스템을 진료와 연구의 균형을 이룬 시스템으로 구축한 병원을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TRACK1, 연구중심병원 지정사업)하고,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된 병원의 R&D를 지원(TRACK2,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함으로써, 병원 기반으로 산·학·연·병·관이 참여하는 개방형 R&D 플랫폼을 구축하여 지속적인 R&D 성과 창출을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 (그림 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