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Future Horizon+ 2022년 제4호 (Vol.54)

  • 등록일2023-01-03
  • 조회수2712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Future Horizon+ 2022년 제4호 (Vol.54)


 

◈ 목차

⑴ 미래연구 포커스: 기술과 사회가 공진화하는 미래
⑵ 미래연구 해외 동향
⑶ 미래연구 Insight

 

◈본문

코로나19와 디지털 혁신이 촉발한 메타노믹스의 도래

2020년 1월 국내에 코로나19가 확산된 이래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급격히 진전된 우리 사회의 디지털화이다. 비대면·비접촉을 지향하면서 원격근무, 원격교육, 디지털 키오스크를 본격적으로 도입하였다. 코로나19 시대의 디지털 기술 혁신은 우리 삶에 깊숙이 침투하였으며, 우리 사회도 디지털 기술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러한 급격한 디지털화는 일상에서 온라인 공간의 중요성과 확장성을 다시금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은 기술 분야는 메타버스다. 일방적인 온라인 의사 전달 환경에서 벗어나 상호 소통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 이전에는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등으로 불리던 것이 혼합현실(Mixed Reality), 촉감기술(haptic)과 융합하면서 사람과 시스템 간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대인 간 교류를 촉진하였다. 특히 2020년 하반기에 페이스북이 메타(Meta)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메타버스는 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 이후 개최된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전시회[미국소비자가전전시회(CES: Consumer Electronic Show),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Mobile World Congress), 하노버메세(Hannover Messe) 등]에서도 메타버스를 주요 키워드 또는 테마로 선정하여 소개하였다.

이 같은 흐름을 고려하여 메타(구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글로벌 플랫폼 기업은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메타버스에서 생활양식 전반을 포괄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중이다(김석관 외, 2021, p. 165).

이에 따라 메타버스 기반의 새로운 시장과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는 이른바 ‘메타노믹스(Metanomics)’2) 시대의 도래 가능성 또한 한층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공존과 상호 운용을 통한 경제 시스템과 생태계 구현이 메타노믹스의 핵심이다. 메타노믹스 기반의 미래사회는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전망할 수 있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의 생산 혁신이다. 공장의 제조 프로세스를 의미하는 협의의 생산이 아니라 근무 환경을 포함하여 기업의 생산 활동을 포괄하는 광의의 생산으로 본다. 메타버스 기반의 생산 활동은 가상 공간에서의 설계, 제조뿐만 아니라 가상 업무 환경의 도래를 포함한다. 물리적 공간의 활동들을 확장하여 가상공간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을 촉진할 것이다.

둘째, 메타버스 기반의 소비 패턴 혁신이다. 비대면 소비 활동이 메타버스 기반으로 확장되면서 소비자들의 경험이 다채로워질 것이다.

셋째, 보건과 안전 측면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예기치 못한 위기를 겪으면서 의료와 안전 교육의 원격화가 급격히 이루어졌다. 이후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의료를 비롯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안전 교육이 활성화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의사 결정 활동에서 참여와 교류의 새로운 공간이 제공되면서 소통 방식의

혁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메타노믹스와 생산, 소비, 보건·안전, 소통의 미래 네 가지 측면에서 미래사회의 모습을 상상해 보자.


① 생산 측면의 메타노믹스

기존의 원격근무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구축되고, 구성원 간에 상호 의견 교류와 업무 활동이 활성화될 것이다. 이에 따라 원격근무의 한계인 현장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생산 현장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설계와 생산, 유지·보수 작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는 디지털 화폐로 지급될 것이다.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행위자들이 다양해지고 그들 간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산업및 경제 시스템의 진화를 촉발할 것이다. 제조업의 생산성은 향상될 것이고, 더 많은 사람이 생산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혁신이 창출될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