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2022년 인체백신 무역수지 적자 8억 달러

  • 등록일2023-01-26
  • 조회수254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2022년 기준 인체백신 무역수지 적자 8억 달러

- 1분기 1.2억불 흑자 이후 2분기 -0.1억불, 3분기 -1.8억불, 4분기 –7.3억불로 적자 확대 -

- 인체백신 최대 수출국은 호주·대만·싱가포르 순, 수입국은 벨기에·미국·독일 순 -

 

◈본문

○ (무역 수지) 2022년 한해 한국의 인체백신 무역수지는 8억 달러의 적자 기록

- 2022년 기준 인체백신 수출은 9억 4천 1백만 달러수입은 17억 4천 9백만 달러 기록

 

<한국의 인체백신 최근 5년간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년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2022

1분기

458

329

129

2분기

320

336

-16

3분기

104

289

-185

4분기

59

795

-736

합계

941

1,749

-808

2021

519

2,355

-1,836

2020

173

345

-172

2019

143

270

-127

2018

166

273

-107


○ (주요 수출국) 2022년 기준 호주가 우리나라의 최대 백신 수출국이었으며대만싱가포르멕시코페루가 뒤를 이음.

※ 10대 수출국 호주대만싱가포르멕시코페루과테말라에쿠아도르콜롬비아콩고민주공화국니제르

○ (주요 수입국) 2022년 기준 벨기에가 우리나라 최대 백신 수입국이었으며미국독일스위스프랑스가 뒤를 이음. 2020년까지 미국이 우리나라 최대 백신 수입국이었으나 2021년부터 벨기에가 수입국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10대 수입국 벨기에미국독일스위스프랑스이탈리아아일랜드캐나다네덜란드일본

○ 결국우리나라는 지금까지 한번도 인체백신에 있어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지 못함.

우리나라는 인체백신에 있어 2021년까지 무역수지 적자였으나 2021년부터 말부터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물량이 본격 수출되면서 2022년 상반기까지는 누적 흑자를 기록했음.

그러나, 2022년 2분기부터 수출보다는 수입이 많아지고 분기별 무역수지 적자 폭이 커지며 결국 2022년 한해 8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 기록

○ 코로나19로 백신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지난해 국내 최초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하는 등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나코로나19 변이 발생에 따른 후속 개량백신 개발 지연경제성 부족개발 및 인허가 경험 부족 등으로 백신 주권에 대한 추진력을 잃고 있음.

○ 선진국은 유니버셜(범용독감백신과 독감 및 코로나 동시 예방 콤보 백신 등을 개발하고 있고금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이 최초로 허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각종 호흡기 백신개발과 암백신 등 혁신적인 백신을 개발하는 사이 우리나라는 가장 큰 시장이 형성된 폐렴구균백신자궁경부암백신 등 고부가가치 백신개발도 이루지 못한 채 선진국과 격차는 커지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