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고령친화산업 제조 · 서비스업 실태조사 및 분석

  • 등록일2023-07-06
  • 조회수359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2021년 고령친화산업 제조 · 서비스업 실태조사 및 분석


 

◈ 목차

제1장. 조사 결과 요약

제2장. 서론

제3장. 고령친화산업 동향 분석 

제4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제5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의약품 제조업

제6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의약기기 제조업

제7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식품 제조업

제8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화장품 제조업

제9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요양 서비스업

제10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여가 서비스업

제11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주거 서비스업

제12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급식 서비스업

제13장. 산업별 분석: 고령친화 금융 서비스업

제14장. 결론 및 제언

 

 

◈본문

제1장. 조사 결과 요약


1. 2021년 고령친화 제조ㆍ서비스업 시장규모

 

2021년 고령친화산업 시장규모 추정: 약 72.3조원

고령친화 제조업(약 22.3조원), 고령친화 서비스업(약 50.0조원)


<표 1-1> 고령친화 제조ㆍ서비스업 실태조사 결과 요약

고령친화 제조ㆍ서비스업 실태조사 결과 요약


1) 본 시장규모 산출의 조사 대상은 제조업 및 서비스업이며, 도ㆍ소매업은 조사대상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유통 시 발생하는 매출 및 수입액은 전체 시장규모에 포함되지 않음. 또한 의약품의 경우 소비금액을 2차 자료로 활용함.

2)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은 실태조사를 통해 시장규모를 추정하였으며, 기타 제조업은 산업별 모(母)산업 2차 데이터(Secondary Data)를 활용하여 각 산업별 시장규모를 추정함. 2차 데이터를 활용한 시장규모 추정 시에는 세부 품목별 시장규모 정보 또는 품목별/연령별 시장규모 정보가 있는 통계를 활용함.

3) 고령친화 의약품 제조업은 품목별/연령별 소비금액을 2차 자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금액을 기준으로 시장규모를 추정함.

4) 고령친화 의료기기, 식품 및 화장품 제조업은 2차 자료를 통해 파악한 품목별 생산액을 활용, 병원에서 주로 소비되는 품목으로 구성된 의료기기는 고령자 환자 비중을, 소비자가 제품을 직접 구매하는 식품 및 화장품은 소비자 조사를 통해 파악된 고령자 소비 비중을 적용하여 시장규모를 추정함.


<표 1-1> 고령친화 제조ㆍ서비스업 실태조사 결과 요약

<표 1-1> 고령친화 제조ㆍ서비스업 실태조사 결과 요약


5) 고령친화 주거 서비스업 및 급식 서비스업은 실태조사를 통해 시장규모를 추정하였으며, 기타 서비스업은 산업별모(母)산업 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산업별 시장규모를 추정함.

6) 고령친화 요양 서비스업은 2차 자료를 통해 세부 서비스별/연령별 요양 급여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활용하여 시장규모를 추정함.

7) 고령친화 여가 서비스업은 여가활동 관련 업종을 선정한 후, 업종별 매출액과 소비자 조사를 통해 파악한 고령자소비 비중을 적용하여 시장규모를 추정함.

8) 고령친화 주거 서비스업은 2020년 기준 조사는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입주비 기준으로 시장규모를 추정하였으나, 2021년 기준 조사부터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실태조사 방법으로 시장규모를 추정함.

9) 고령친화 급식 서비스업은 2021년 실태조사부터 추가된 업종임.

10) 고령친화 금융 서비스업은 고령자가 되기 이전에 적립한 자산을 고령자가 된 후 받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노후 대비 및 노후 생활을 위한 금융상품인 퇴직연금, 연금저축, 주택연금의 납입금 및 지급금을 기준으로시장규모를 추정함.


2.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1) 조사 개요


(1) 조사 기본개요

○ 고령친화산업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기본개요는 다음과 같음.


<표 1-2>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기본개요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기본개요


(2) 조사 대상


○ 노인 또는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 돌봄, 일상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거주 환경적 특성을 배려한 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체

▷ 명부 취합을 통해 최초 구축된 모집단을 대상으로 2021년 기준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품목을 취급하고 있는 사업체를 선정함

▷ 취합 대상 명부는 고령친화우수제품 인증 사업체(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복지용구 인정 사업체(보건복지부), 장애인 노인보조기구 등록 사업체(국립재활원), 장애인 보조기구 등록 사업체(국립재활원), 재활보조기구 등록 사업체(국립재활원), 의료기기 허가 사업체(식품의약품안전처)로 구성됨.

▷ 모집단 명부 추출틀 및 기준이 서로 다르기에 중복사례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여, 사업체명과 전화번호, 세부주소를 기준으로 중복 사업체를 정리하여 최종 1,018개로 구축함.


<표 1-3>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모집단 현황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모집단 현황


(3) 조사 내용


○ 조사 내용은 크게 기본 현황, 고령친화 용품 취급현황, 재무 현황, 인력 현황, 연구개발 현황으로 구성됨.


<표 1-4>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조사 내용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조사 내용


(4) 실사진행 결과


○ 부문별 최종 실사 진행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1-5>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실사 진행 결과

고령친화 용품 제조업 실태조사 실사 진행 결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