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이탈리아 스마트팜 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23-10-13
  • 조회수242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이탈리아 스마트팜 기기 시장동향

 


◈본문


이탈리아 기후변화로 스마트팜 기술도입 필요성 증가

한국 제품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관련 전시회 참가 등 적극적 시장공략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농업용 스마트팜 기기 (HS Code: 8436.80)

- 농업, 원예용, 임업, 양봉용 기타 기계



시장동향


2020년 기준 전 세계 스마트 농업 시장은 약 70억 달러 규모를 넘어섰으며 그중 30%는 유럽에서 생산됐다. 당시 이탈리아는 세계 시장의 4%에 불과했으나, 최근 몇 년 사이 생산을 비롯해 보급에서도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Smart Agrifood Observatory의 발표에 따르면 이탈리아 농업 4.0(스마트팜) 기술 시장은 2022년에는 16억 유로(약 2조3000억 원)의 가치를 기록했으며, 2021년까지 약 6%에 머물던 농업 4.0(스마트팜) 도입률은 1년 사이 급격히 성장해 2022년에는 이탈리아 농장 중 60%가 최소 한 가지 이상의 농업 4.0 기술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높은 도입률을 기록한 지역은 롬바르디아로 65% 이상의 농장이 농업 4.0 기술을 사용했으며 피에몬테(62%), 에밀리아로마냐(55%)가 뒤따랐다.


농업 4.0이란 지속 가능한 농축업 전환을 위해 인공지능, 드론, 농업로봇, 빅데이터 등 현대 기술을 사용해 농업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는 스마트팜을 말한다. 다양한 기술을 농업에 접목시켜 생산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추적성 또한 강화시켜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생산되는 농업 쓰레기를 감소해 경제적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탈리아 스마트팜 시장의 80%는 농기계 및 장비 공급 업체와 같이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한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20%는 다양한 스타트업이 시장을 이루고 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관리 소프트웨어 사용을 통한 컴퓨터화 기술이 40%로 가장 높은 도입률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23%), 작물 및 토지 분석(19%) 순으로 뒤를 따르고 있다.


<이탈리아 농업 4.0 기술별 도입률>

이탈리아 농업 4.0 도입률

[자료: Smart Agrifood Observatory]


최근 이탈리아는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Isac-Cnr(The Institute of Atmospheric Sciences and Climate, 대기 및 기후 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2022년 이탈리아의 강수량은 평균보다 30% 이상 줄었으며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으로 인해 발생한 국가 피해액이 60억 유로(약 8조5566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에도 이탈리아 전국에 기상이변이 지속돼 전년보다 피해금액의 규모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외에도 매년 이탈리아에서는 186만6000톤의 농업 쓰레기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이 70억 유로(약 10조 원)가 넘는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경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더 친환경적이고 디지털화된 농업으로의 전환이 시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럽연합에서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발표했으며 이탈리아 정부 또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유럽연합의 농부 및 농촌 개발 지원을 위한 3866억 유로(약 558조 원)의 공동 농업 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과 이탈리아의 국가 회복 및 복원 계획(National Recovery and Resilience Plan)이 있다. 이탈리아는 국가 회복 및 복원 계획으로 5억 유로(7179억 원)의 예산을 배정해 농업의 현대화와 정밀 농업(precision farming)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이탈리아의 스마트팜 농업 4.0 시장은 현재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이탈리아 스마트팜 기기 수입동향


스마트팜 기기는 농업에 접목시킬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기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드론과 같은 일부 품목은 별도로 분류된다. 해당 HS코드에 포함되는 기기는 농업, 원예용, 임업, 양봉용 등에 사용되는 기타 기계로 해당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이탈리아의 스마트팜 기기의 수입액은 363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18.7% 감소했다. 수입 상위국에는 중국, 네덜란드, 오스트리아가 위치해 있으며 수입 1위 국인 중국에 대한 쏠림 현상이 완화되는 추세로 수입 점유율이 2021년 31.5%에서 2022년 21.3%로 급감했다.


이탈리아 스마트팜 기기 수입 시장의 상위 10국을 살펴보면 1위인 중국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9개국이 모두 인근 유럽 국가로 구성돼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수입 2위 국인 네덜란드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48.4% 증가했으며, 영국과 스위스 제품의 수입 또한 크게 증가했다. 반면, 독일과 프랑스 제품의 수입은 각 23.4%, 30.6% 감소를 보였다.


<이탈리아의 스마트팜 기기(HS Code 8436.80) 수입 동향(2020~2022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0

2021

2022

수입액

수입액

수입액

증감률

('22/'21)

1

중국

6,907

14,058

7,735

-45.0

2

네덜란드

3,625

5,130

7,612

48.4

3

오스트리아

1,682

6,122

6,281

2.6

4

독일

3,230

8,114

6,213

-23.4

5

프랑스

759

1,748

1,212

-30.6

6

핀란드

834

1,049

1,042

-0.7

7

스페인

249

1,205

952

-21.0

8

벨기에

288

994

722

-27.4

9

영국

493

548

703

28.4

10

스위스

47

153

574

274.1

합계

23,801

44,684

36,302

-18.7

[자료: Global Trade Atla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