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2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 등록일2024-01-12
  • 조회수218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2022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 목차

⑴ 바이오 소재 통계 개요

⑵ 바이오 소재 관련 현황
⑶ 바이오 소재 실태조사 세부통계
⑷ 생명연구자원(바이오 소재) 관련 자료

 

 

◈본문

■ 01. 바이오 소재 통계 개요


1. 개요


◎︎ 목적

-국가 차원에서 확보/관리/활용되고 있는 바이오 소재 현황 파악

-바이오 소재의 중장기 정책방향 수립 및 바이오 연구/산업 활용을 위한 통계정보 제공


◎︎ 작성기관

-(담당부서) 한국생명공학연구원(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작성근거

-생명연구자원법 제19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통계조사 및 통계간행물의 발간)


◎︎ 작성연혁

-'11년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최초 발간

-'18년 「생명연구자원통계 (가공통계)」국가통계 승인 (승인번호 제449001호)

-'22년 「바이오소재통계 (보고통계)」로 변경승인


◎︎ 작성주기 및 기준시점

-작성주기 :1년

-보고기준시점 : 전년도 1월1일 ~ 12월 31일


◎︎ 작성대상

- 대상규모: 국내 바이오 소재 관리 기관 및 기관의 보유 정보*

* 실물 소재의 확보•관리•분양 정보, 시설, 장비, 인력 등

-대상지역: 국내


◎︎ 결과공표

-공표주기: 1년

-공표시기: 익년도4월

-공표방법 : 인터넷 게시 및 통계간행물 발간


◎︎ 공표범위

-지역: 전국

-항목 : 바이오 소재 관리71관 (4개 항목), 바이오 소재 현황 (4개 항목), 바이오 소재 관리71관 인력

현황 (1개항목)


◎︎ 참고사항

»실태조사의 요약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시행계획에 수록하고, 세부수치는 통계

간행물에 수록

» 매년 국내 바이오 소재 관리기관은 변동될 수 있음 (신규 기관 추가 또는 감소)

»‘제3차 국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수립에 따라 '기존 소재자원은행’을 ‘14대

소재 클러스터’로 재편*하여 운영

* 14대 소재 클러스터별로 "중앙은행-거점은행-협력센터” 체계로 운영 


2. 조사 체계


◎︎ 조사대상

-(조사주체) 14개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별 책임부처 및 중앙은행

-(조사대상) 바이오 소재 분야의 226개 소재자원은행 은행장 또는 종사자 등


◎︎ 조사절차

-(정부) 과기정통부가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조사계획 마련

-(지원기관) 지원기관(생명연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은 클러스터별 중앙은행 및 소재

자원은행과 협력하여 조사 실시,결과 정리

*(순서) 과기정통부 > 해당 책임부처 > 해당 중앙은행 또는 소재자원은행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실태조사 입력시스템 구축(’21년 조사부터 적용)




◎︎ 조사(작성)방법

-바이오 소재 관리기관 소속 종사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입력 요청

*입력에 대한 안내 동영상, 이메일, 전화를 통한 입력 지원 병행


◎︎  작성항목

-국내 바이오 소재 관련

-바이오 소재 관리기관 현행, 바이오 소재 현황*, 관리기관 인력 현황 등

*자원별(동물,식물,미생물,인체유래물) 실무위원회를 통해 마련한 실물통계표준('16)을 기준으로 작성함




■ 02. 바이오소재 관련 현황


1. 바이오 소재 관리기관 현황


지역별 현황 (단위:개,곳)




기관별 현황 (단위: 개,곳)




기관 분류별(산업체/학교/연구소/공공기관/병원) 현황 (단위: 개,곳)




소재 클러스터별 현황 (단위: 개,곳)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