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산업기술·시장동향] 이스라엘 제약 산업 현황

  • 등록일2024-05-02
  • 조회수1563
  • 분류산업동향

 

 

[글로벌 산업기술·시장동향] 이스라엘 제약 산업 현황


 

◈ 목차


  • I.이스라엘 제약 산업 개요

  • II.이스라엘 제약 산업 특징

  • III.이스라엘 주요 제약기업

 

◈본문


  • 1.이스라엘 제약기업 현황

  • ✤︎이스라엘 첨단기술산업 협회(Israel Advanced Technology Industries)에 따르면‘22년 이스라엘에는 생명과학 기업이 1,800개 있으며, 제약 회사는 151개사

  • ✤︎이스라엘 제약 산업은 디지털 헬스나 의료기기 등 다른 생명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 10년간 연간 1억 달러(한화 약 1,300억원) 내외의 투자를 꾸준히 유치

그림 1. 이스라엘 생명과학 분야별 자금 유치 현황(2012-2022)

그림 1. 이스라엘 생명과학 분야별 자금 유치 현황(2012-2022)


  • ✤︎이스라엘은 제네릭 의약품1) 글로벌 1위 업체인 Teva(테바)를 보유

  • 2.이스라엘 제약 산업 수출입 현황

  • ✤︎2022년 기준 이스라엘 제약기업은 32억 달러 규모의 의약품을 수출했으며 이는 세계 24위 수준

  • 이스라엘 의약품 주요 수출국은 미국,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시장으로 한국의 주유 수출국(미국, 스위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과 차이가 있음

그림 2. 이스라엘 의약품 주요 수출국 현황(2021년)

그림 2. 이스라엘 의약품 주요 수출국 현황(2021년)

  •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이스라엘이 차지하는 비중은 0.38%(한국 1.05%, 20위)

  • ✤︎이스라엘 의약품 산업은 이스라엘 제조업 생산의 12%, 수출의 4.3% 차지(2020년)

  • ✤︎이스라엘 의약품 수입액(’22년, 35억 달러)은 수출액보다 약 10% 높으며, 의약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편

  • 과거에는 의약품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았지만, 이스라엘 대표 제약 기업인 테바의 경영악화로 ‘22년 기준 의약품 수입액이 수출액 능가

  • II.이스라엘 제약 산업 특징

  • 1.이스라엘 제약 산업 구조 개편

  • ✤︎제네릭 중심의 제약 산업에서 혁신 신약 개발, 의료기기 산업으로 재편 중

  • 과거 Teva(테바), Taro(타로) 등 제네릭 의약 기업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

  •  인도, 중국 등 생산 단가가 낮은 국가 중심으로 제네릭 시장이 개편됨에 따라, 이스라엘 내 제네릭 기업의 수익성이 지속 하락함

  • 이스라엘 제약업계 시가총액 2위 업체인 Taro는 2007년 인도 Sun Pharma에 지분 일부 매각(4.5억 달러), 2024년 공식 인수합병 발표

  • 혁신 신약 개발, 의료 기기 산업으로 시장 지형이 변화, 이스라엘의 강점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해 신약 개발 가능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됨

<이스라엘 대표 AI 약물 개발 기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