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 등록일2020-02-11
- 조회수5932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2-05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복지부#보건의료인력#OECD
- 첨부파일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제 2절 연구목적 및 방법
제2장 선행연구 및 국외사례
제1절 보건의료실태조사 관련 산행연구
제2절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 보건의료인력의 위치
제3장 보건의료인력 현황 및 근무조건에 대한 인식
제1절 보건의료인의 정의 및 근무조건 인식 조사 개요
제2절 의사
제3절 치과의사
제4절 한의사
제5절 약사
제6절 한약사
제7절 간호사
제8절 임상병리사
제9절 방사선사
제10절 물리치료사
제11절 작업치료사
제12절 치과기공사
제13절 치과위생사
제14절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제15절 안경사
제16절 간호조무사
제17절 보건의료인력 운용의 문제점 및 향후 과제
제4장 보건의료인력 활동 현황
제1절 요양기관 활동 보건의료인력 현황
제5장 보건의료인력 관리체계와 법률체계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보건의료인력 관리체계와 법률체계 현항
제2절 보건의료인력 관리쳬계와 법률체계 문제점
제6장 보건의료인력 수급 추계 방법 현황
제1절 보건의료인력 추계 접급방법
제2절 국내외 사례
제7장 결론
제1절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제2절 보건의료서비스 싲ㅇ에 대한 고찰
제3절 향후 과제
참고문헌
요약
1.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의 필요성
보건의료인력 관련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력 수급체계, 노동 시장에서의 맥락, 건강보험제도 및 보건의료체계 전반을 함꼐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가 단위의 보건의료인력 종합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WHO, 2006)
-보건의료인력을 둘러싼 시스템은 보건의료 정책,파트너쉽,교육,리더쉽,재정 등 각 구성요소가 상호작용을 하며, 이는 계획, 준비, 시행,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보건의료인력의 업무 성과,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 수준으로 귀결될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