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13년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 현황
- 등록일2015-03-12
- 조회수8523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5-02-25
-
키워드
#바이오#헬스케어#인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16]
'13년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 현황
■ 주요 산업별 산업기술인력 현황
○ 2013년 기준 전체 산업기술인력*은 151만명으로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은 2.5만명으로 나타남
-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은 동 산업 전체 근로자 수(7.7만명)의 1/3(32.5%) 수준이며 12대 주력산업** 중 산업기술인력 비중이 낮은 편임
*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 및 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 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
** 12대 주력산업에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비롯해 기계, 디스플레이, 반도체,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소프트웨어, IT 비즈니스 분야를 포함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 현황(2013년)>
출처: 산업부, ‘2014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보고서’, 2014.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 실태
○ 2013년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2.5만명)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 경기도 지역이 42.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뒤이어 충청권(충북, 충남, 대전, 세종*) 비중이 29%로 높게 나타남
* 세종시는 대전시에 포함하여 계산함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 지역별 분포 현황(2013년)>
출처: 산업부, ‘2014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보고서’, 2014.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2013년 바이오·헬스 분야 학위별 산업기술인력 분포는 고졸이 36.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 석사학위 이상 인력 비중은 11.2%로 전체 석사학위 이상 인력 비중(8.6%)보다 2.6% 높아 타 주요 제조산업 대비 학력 수준이 높은 편임
<주요 제조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학력별 분포 현황(2013년)>
출처 : 산업부, ‘2014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보고서’, 2014.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 수요 현황
○ 2013년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인원*은 728명이며 부족률**은 2.8%로 나타남
- 다른 주요 제조산업에 비해 부족인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부족률은 높은 편임
* 부족인원 :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 부족률(%)=부족인원/(현원+부족인원)*100
<주요 제조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 및 부족률 현황(2013년)>
출처 : 산업부, ‘2014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보고서’, 2014.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학력별 부족인원 비중은 고졸(35.0%)이 가장 높은 반면 부족률은 전문학사(3.4%)가 가장 높게 나타남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기술인력 학력별 부족인원 및 부족률 현황(2013년)>
출처 : 산업부, ‘2014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보고서’, 2014.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계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