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주요 국가별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현황

  • 등록일2015-10-06
  • 조회수7269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5-10-02
  • 키워드
    #유전체#프로젝트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5-78(15.10.2)●주요 국가별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현... (다운로드 28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5-78

주요 국가별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현황

 

◇ 최근 개인 유전체에 근거한 맞춤의료가 의료계의 화두로서, 맞춤의료의 기반이 되는 유전체 분석에 대해서 국가별 주요 프로젝트 현황 정리


■ 미국의 오바마 정밀의학* 이니셔티브(Obama’s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 미국 정부는 ‘정밀의학구상’을 2016년도 예산안 우선정책 중 하나로 선정
   - 개인 유전자, 환경 및 생활 양식 등의 개인차가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해짐에 따라 개인 맞춤형 의학 확대를 지원하는 정책
   - 오바마 정부는 2016년 2.2억달러(약 2,370억원)를 NIH와 FDA에 투자해 의학의 새로운 장을 열 것이라고 선언
* 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질병이 생길 경우 개인 맞춤형 치료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개념


■ 영국의 10만 게놈 프로젝트(The 100,000 Genomes Project)
 ○ 영국 보건부가 2012년 착수한 프로젝트로 암, 감염질환 및 희귀질환자 치료를 목적으로 발표
   - 이를 위해 영국보건의료서비스(NHS)에 등록된 암 및 희귀질환 환자 중 7만 5천여 명이 제공한 10만개의 게놈 분석
   - 영국 보건부가 설립한 지노믹스 잉글랜드(Genomics england)가 수행 주체로 5년(2013~17년)간 3억파운드(약 5,000억원)가 투입될 예정


■ 일본의 질병 극복을 위한 게놈의료* 실현화 프로젝트
 ○ 일본 정부가 유전체 정보를 활용해 환자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맞춤형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놈의료의 실현화를 추진하기로 결정
   -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AMED)는 질병 극복을 위한 게놈의료 실현화 프로젝트를 위해 2015년 93억엔 (약 950억원) 요구
* 게놈의료는 질병의 원인 유전체를 밝혀 치료법을 개발하고,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 발현 등을 유전체로부터 파악하여 환자에 적합한 약물을 선택하여 치료하는 활동

   - 현재 3개의 바이오은행에 축적되어 있는 유전체 정보를 취합해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
 ○ 2015년 7월 일본 AMED는 진단되지 않는 질병(원인불명)을 가진 아동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치료에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발표
  - 일본 전국 17곳의 거점 병원에서 진찰 및 검사를 담당하게 될 예정


■ 국내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현황
 ○ 정부는 ‘포스트게놈 신사업 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에 2014년부터 향후 8년(2014~2021년)간 약 5,788억원을 투입할 예정
   - 그간 부처별, 개별적으로 수행되던 유전체 사업을 다부처 사업으로 통합, 특히 부처 간의 연계와 협력이 필요한 5개 사업*은 공동연구 사업으로 추진해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시너지 효과 기대
* 인간게놈표준지도, Host-microbe 연구, 국제협력연구, 전문인력양성, 질병기전연구

   - 세부적인 분야로는 △개인별 맞춤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질병 진단·치료법 개발 △동·식물, 농업유용 미생물, 해양생물 등 각종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명 자원 개발 △유전체 분석 기술 등 연구기반 확보 및 원천기술개발 △산업화 촉진을 위한 플랫폼 기술개발

 

* 개인별 맞춤의료 관련 예산으로는 1,577억원 투입 계획

 

11111111.jpg


  출처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추진계획(안), 2014.7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