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를 돕는 조절 T세포
- 등록일2023-08-24
- 조회수4893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23-08-24
-
키워드
#파킨슨병#줄기세포#T세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를 돕는 조절 T세포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0
◇ 최근 Nature에 조절 T세포(regulatory-T, Treg Cell)를 도파민 뉴런과 함께 이식하는 방법으로 도파민 뉴런의 생존률을 크게 향상시킨 연구결과가 발표. 수술 후 외상으로 유발된 염증으로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한 뉴런의 90%가 사멸하는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 가능 ▸주요 출처 : Nature News, Regulatory T cells aid stem-cell therapy for Parkinson’s disease, 2023.7.12.; Nature, Co-transplantation of autologous Treg cells in a cell therapy for Parkinson’s disease, 2023.7.12 |
■ 조절 T세포(regulatory-T cell,Tregcell)를 도파민 뉴런과 함께 이식하는 방법으로 도파민뉴런의 생존률을 크게 향상시킨 연구결과가 발표
○ 오랜 연구 끝에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감소한 도파민 뉴런을 직접 이식하는 치료법이 개발되었으나, 이식된 도파민 뉴런의 90%가 2주 내 사멸하는 것으로 보고
※ 파킨슨병은 뇌의 운동회로를 구성하는 중뇌 도파민 뉴런(midbrain dopamine neurons,mDANs)의 소실로 도파민 분비가 감소해 운동기능 장애가 생기는 퇴행성 뇌질환
- 도파민 뉴런이식 치료는 인간 줄기세포를 중뇌 도파민뉴런(mDANs)으로 분화시키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진 치료법
- 하버드의대 연구팀은 환자의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역분화 후 이를 다시 도파민 뉴런으로 분화시켜 환자의 뇌에 성공적으로 이식
○ 그러나 수술후외상으로 유발된 염증반응에 의해 이식된 도파민 뉴런의 90%가 사멸되는 것을 확인
- 수술후외상으로 유발된 염증 반응은 이식된 도파민 뉴런에 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TNF, IL-1 및 IFN-γ와 같은 염증반응 매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다른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도파민 뉴런의 사멸을 초래
■ 이에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의 성공은 염증반응 매개 면역세포 활성을 억제하여 이식한 도파민 뉴런의 생존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
○ 하버드의대 연구팀*은 조절-T 세포(regulatory-T,TregCell)**를 도파민 뉴런과 함께 이식하는 방법으로 도파민 뉴런의 생존률을 크게 향상시킨 연구결과를 Nature에 발표
* 하버드의대 줄기세포연구소(김광수 교수 연구팀), 연세대, Good T Cells사 공동 연구
** 염증을 억제하고 자가 항원에 대한 면역관용을 유지하며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세포
- 파킨슨병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도파민뉴런과 Treg 세포를 함께 이식한 경우와 도파민 뉴런만 이식한 경우의 생존률을 비교
- 도파민뉴런만 이식했을 때는 2주 후 생존률이 약 27%에 불과했으나 Treg 세포와 함께 이식했을 때는 50%의 도파민뉴런이 생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미국 NIH의 체세포 유전체편집 프로그램 (Somatic Cell Genome Editing, SCGE) 2단계 진입
-
다음글
- 2년 내에 치료법을 발굴하는 ARPA-H의 첫 번째 프로그램, NITRO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