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유선”의 화학적 시냅스가 아닌 “무선”의 뉴로펩타이드 신경망이 새롭게 발견

  • 등록일2023-11-30
  • 조회수367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3-11-30
  • 키워드
    #뉴로펩타이드 신경망#무선 신경망 지도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3-82(11.30)●“유선”의 화학적 시냅스가 아닌 “무선”... (다운로드 14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유선”의 화학적 시냅스가 아닌 “무선”의 뉴로펩타이드 신경망이 새롭게 발견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2


◇ 지금까지 뉴런 사이의 신호전달은 화학적 시냅스로 연결된 신경망이 유일한 회로라고 생각해왔으나, 최근 예쁜꼬마선충에서 뉴로펩타이드로 활성화되는 “무선” 신경망을 새롭게 발견하여 최초의 무선 신경망 지도를 완성. 무선 신경망이 화학적 시냅스로 활성화된 유선 신경망과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여 유기체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결과가 기대

▸주요 출처: Nature News, Wi-Fi for neurons: first map of wireless nerve signals unveiled in worms, 2023.11.15


 예쁜꼬마선충 신경계에서 시냅스가 아닌 뉴로펩타이드(Neuropeptide)로 활성화되는 무선 신경망(neural network)이 최초로 발견

○ “유선”의 화학적 시냅스 외에 “무선”의 뉴로펩타이드 신경망이 새롭게 발견

- 지금까지 뉴런 사이의 신호전달은 화학적 시냅스로 연결된 신경망이 유일한 회로라 생각하며 시냅스 연결망에 집중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 최근 영국 MRC 분자생물학연구소의 신경과학자들이 예쁜꼬마선충에서 모든 뉴런이 뉴로펩타이드로 활성화된 “무선” 신경망을 발견

※ 예쁜꼬마선충은 총 302개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300개의 화학적 시냅스 연결이 완전히 매핑된 연구모델


○ 연구팀은 49종의 뉴로펩타이드와 51종의 G-단백질결합수용체(GPCR)의 상호작용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한 후 통합하여 뉴로펩타이드 무선 신경망 지도를 완성

- 무선 신경망은 하나의 뉴런에서 방출된 뉴로펩타이드가 접합 부위 없이 멀리 떨어진 뉴런의 수용체(GPCR)에 결합함으로써 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으로,

- 뉴로펩타이드 종류에 따라 결합된 수용체와 발현된 유전자를 통합 분석하여 “뉴로펩타이드로 매개된 무선 신경망”을 매핑


○ 뉴로펩타이드에 의한 최초의 무선 신경망 지도는 302개 뉴런 사이에서 발생한 31,479개의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각 뉴로펩타이드와 수용체가 결합된 위치 정보를 제공

- 연구팀은 뉴로펩타이드가 혈액에 분비되어 표적기관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호르몬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라고 설명


○ 뉴로펩타이드로 매개된 무선 신경망은 화학적 시냅스 연결망 대비 훨씬 조밀하고, 탈중앙화되어 있으며,

- 핵심 뉴런(허브) 중심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시냅스와 다른 정보처리 방식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


< 예쁜 꼬마선충의 뉴로펩타이드로 연결된 무선 신경망 지도 >

예쁜 꼬마선충의 뉴로펩타이드로 연결된 무선 신경망 지도

▲ 무선 신경망 지도는 49종 뉴로펩타이드와 51종 G단백질 결합수용체(GPCR,Gprotein-coupledreceptor), 302개 단일뉴런 발현 데이터를 이용해 모든 뉴런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신경계 연결지도를 제작, 뉴로펩타이드 무선 신경망은 시냅스 대비 훨씬 조밀하고 탈중앙화된 연결망을 구성

출처 :Neuron, The neuropeptidergic connectome of C. elegan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