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미국, 바이오경제 성장을 위한 데이터 이니셔티브 수립

  • 등록일2024-03-19
  • 조회수198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3-19
  • 키워드
    #바이오#바이오경제#데이터 이니셔티브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4-18(3.19)●미국 바이오경제 성장을 위한 데이터 이니... (다운로드 18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미국, 바이오경제 성장을 위한 데이터 이니셔티브 수립

BioINwatch(BioIN+Issue+Watch): 24-18


◇ 미국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바이오경제 이니셔티브를 위한 데이터의 비전, 요구사항 및 제안된 조치사항(Vision, needs, and proposed actions for data for the bioeconomy initiative)’을 발표(2023.12.20.). 바이오경제의 번영을 실현하기 위해 보안성 및 접근 용이성을 갖춘 고품질의 광범위한 바이오 데이터베이스 구축 목표

▸주요 출처 : whitehouse.gov,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Vision, needs, and proposed actions for data for the bioeconomy initiative」, 2023.12.20.


 

  바이든 대통령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촉진 행정명령에 서명(2022.9)

○ 바이오경제는 생명과학, 특히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분야에서 파생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산업, 제품, 서비스, 인력을 포함

- 행정명령 섹션 4(a)에서는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의 일환으로 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이니셔티브(이하, 데이터 이니셔티브) 수립 명시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데이터와 인프라의 현재 환경을 개선하고 바이오경제를 촉진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비전, 필요 사항, 제안 조치(actions) 마련

○ 미국의 연방 데이터 인프라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현행 메커니즘은 데이터 저장에 대한 수요 증가, 빠르게 진화하는 데이터 유형과 컴퓨팅 기능에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이 부족한 상황

- 바이오경제의 성공적인 발전을 이루고, 연구 및 혁신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며, 팬데믹, 기근, 지정학적 분쟁 등 역동적인 글로벌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 접근 방식 필요

○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는 데이터 이니셔티브의 기반이 될 강력한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

- 데이터 기반 바이오경제에서는 기존 리소스 및 모범 사례와 함께 활용하는 것이 중요



 데이터 이니셔티브는 선진 바이오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기존 리소스를 활용하고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와 기회를 파악

○ 보건, 농업, 환경, 바이오제조를 포함한 바이오경제 부문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


 7가지 핵심 행동(Core Actions)을 제시하여 범정부 차원의 일관된 조정과 지속적인 투자 요구

① 데이터 및 컴퓨팅 인프라를 위한 장기적인 전용 자금 지원 메커니즘 수립

- 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를 모두 연결하는 신뢰 및 지속가능한 데이터 생태계를 설계하고 지원하며, 이를 원활하게 통합하여 바이오경제의 성과를 실현 및 가속화

② 미국 바이오경제 데이터 생태계를 육성하고 강화하는 모범 사례를 수립하기 위한 표준 마련

- 원활하고 지속가능한 협업과 파트너십 보장을 위해 기관, 연구 기업 및 기타 주요 커뮤니티 구성원을 아우르는 통합 리소스 구축

③ 기존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바이오데이터 카탈로그 수립

- 고유 영구 식별자(PID)와 결합된 새로운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추가하는 영구 리소스 제공

④ 데이터 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혁신을 지원하는 보안 관행 및 정책 수립

- 혁신 경로 지원 및 데이터 환경을 보호하는 관행 적용 및 정책 개발

⑤ 미래의 바이오경제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견인할 인력 확보

- 데이터 과학 및 관련 STEM 분야의 참여를 확대하고 새로운 연방 채용 메커니즘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강화

⑥ 신속한 혁신을 목표로 전략적으로 타겟팅된 분야(STARTs) 설정

- 실행가능성과 영향력을 파악하고 더 큰 투자를 위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 필요 핵심 영역에 집중적으로 투자

⑦ 정부 간 투자, 노력 및 자원의 조정

- 정부 간 협업 및 기관 지원을 위한 NSTC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구성


위에 제안된 7가지 활동 및 투자로 인해 미국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분야의 리더로서 입지 확보 가능


○ 이러한 제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미국 정부 전반에 걸친 R&D 투자와 정부, 학계, 산업계, 비영리 단체의 모든 수준의 전문가들의 참여 필요



혁신을 촉진하는 데이터 기반 바이오경제의 비전 >


< 혁신을 촉진하는 데이터 기반 바이오경제의 비전 >

 

 데이터 접근성은 미국 바이오경제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 바이오경제는 멀티오믹스 데이터, 생물학적 이미지 데이터, 건강 데이터, 환경 및 위성 데이터 등 풍부하고 광범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

- 데이터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데이터를 분석·종합·사용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및 컴퓨팅 리소스와 데이터를 연결하는 통합된 데이터 구조를 만들어 더 많은 사람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상호운용성과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와 저장 공간에 대한 커뮤니티 기반 표준의 개발과 채택 필요

○ 미래의 바이오경제 데이터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훈련과 교육, 보안 위험제한 및 완화 노력, 데이터 과학·컴퓨팅·생명공학·바이오제조 분야의 변화에 발맞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 조정

- 추가적인 데이터도 필요하지만, 기존 데이터와 예상되는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협조와 인프라 투자 필요


 데이터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조정은 미국이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분야 선진국으로서 더 성장할 수 있는 명확한 경로 제공

○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다양한 연구자, 기관 및 기업은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 생물학의 잠재력을 발전시켜 사회적 난제 해결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