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과학재단(NSF) 평가백서 2013
- 등록일2015-02-06
- 조회수422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7-22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과학재단#NSF#평가백서
- 첨부파일
미국과학재단(NSF) 평가백서 2013
Ⅱ. 서 론
1950년에 제정된 미국과학재단법은 NSF의 주요기능을 “기초과학연구 및 프로그램을 선도하고 지원하여 과학연구의 잠재력과 모든 수준의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강화시키는 것”3)으로 명시하고 있다. NSF는 미국 전역의 1,900여개 단과대학, 종합대학 및 기타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는 연구자, 교육자 및 학생들에게 가치 기반(merit-based)의 평가를 통해 연구비를 지원함으로써 본연의 임무를 다하고 있다.
모든 연구과제의 신청은 국가과학위원회가 승인한 두 가지 기준, 즉 “지적가치평가(intellectual merit)”과 “폭넓은 영향력(broader impacts)”을 바탕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기준은 NSF의 .연구과제 신청지침(Grant Proposal Guide)에 명시되어 있다. 2012년 10월에 국가과학위원회는 새로운 권고 사항들을 포함하는 “연구과제 신청지침”의 가치 평가기준을 개정한바 있다.4) 개정 내용은 2013년 1월 14일 또는 그 이후에 제출하거나, 2013년 1월 14일 또는 그 이후의 날짜를 마감일로 하는 신청과제들에 적용되었다.
그리고 사업 공고 및 참여 권고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활동의 특수한 목적을 강조하기 위하여 추가 기준을 요구할 수도 있다. NSF의 신청과제 중 약 96%는...................(계속)
[목 차]
Ⅰ. 요 약
Ⅱ. 서 론
Ⅲ. 신청 및 선정
1. 신청, 선정 및 선정률
2. 참여의 다양
3. 선정 유형
4. 분야별/기관별 선정
5. 결정기간(신청처리기간)
6. 연구과제 관련자료
6.1. 연구지원 신청, 선정 및 선정률 추세
6.2. 연구지원의 규모 및 기간
6.3. 연구과제당 연구책임자 수
6.4.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지원 건수
6.5. 연구과제 참여인원 수
6.6. 단독/공동 연구책임자의 평균 인건비 지원기간
6.7. 연구자의 접수 및 선정률
6.8. 신진 연구책임자 및 중견 연구책임자
6.9. 혁신 연구 장려 방안
6.10. 다면패널 평가 및 분야 간 공동지원
6.11. 선정과제의 지역 분포
Ⅳ. 가치 평가 과정
1. 가치 평가 기준
2. 가치 평가 과정 개요
3. 프로그램 관리자의 선정/탈락 추천
4. 신청자에 대한 평가결과 송부 및 재심 과정
5. 외부평가 방법
6. 가치 평가의 실험적 방법들
7. 평가자 관련자료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미국 NSF, 10개의 지역혁신엔진(NSF 엔진) 발표 2024-02-13
- BioINwatch 미국 NSF의 TIP 본부, 기초연구 성과의 Lab to Market 촉진 노력 2023-11-21
- BioINwatch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NSF의 R&D 방향성(Cross-cutting advance) 2023-04-27
- BioINwatch 바이든 행정부, 미국의회(상원, 하원), 미국 NSF 역할 확대와 예산 증액 제안 2021-06-02
- BioINwatch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를 지키기 위해 미국 NSF에서 NSTF로의 변화 시도 2020-08-31
동향
- 정책동향 미국 상무부와 NSF, 칩스 및 과학법 기반 인력 개발 3천만 달러 신규 공고 발표 2024-11-01
- 기술동향 [워싱턴DC Weekly Brief 2월] 미국 NSF, 생물학적, 화학적 센싱 애플리케이션의 기술 개발 증진 2024-03-08
- 제도동향 [R&D Brief 2023-5호] 스위스 국립과학재단(SNSF)의 베이지안 순위 및 추첨제 2023-10-18
- 정책동향 [GT 글로벌 산업정책동향] 美 NSF, 4개의 신규 과학기술센터 설립을 위한 1억 2천만 달러 지원발표 2023-10-05
- 정책동향 2020년 미국의 박사학위 취득자 현황 분석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