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용 핵심부품 및 요소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16-01-27
- 조회수532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1-2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웨어러블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용 핵심부품 및 요소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저자 : 조재혁 KISTEP 연구위원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1. 사업의 개요
가. 사업추진 배경 및 목적
□ 차세대 스마트 기기로서 웨어러블 산업에 대한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기술력을 확보함으로서 글로벌 트렌드에 맞는 신산업 육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임
○ 웨어러블 기기의 도입과 더불어 2015년 본격적인 웨어러블 시장형성이 예측되나, 현재 웨어러블 관련된 부품 및 요소기술은 미확보된 상황임
* 글래스형, 손목착용형 등과 같은 액세서리형은 시장은 ‘14년부터, 의복과 결합하는 직물조합형 시장은 ‘15년부터 본격 형성될 전망(Markets and Markets, ‘13.5)
○ 글로벌 선도기업 30개 이상 확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선도국 실현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의 기초원천기술 획득
□ 사업개요
○ 사업목표(Vision) : 미래사회에서 사용 및 수입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핵심부품 및 요소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프로그램지원
○ 사업비 : 총 4,550억 원 (국고 : 2,927, 지방비 : 176, 민자 : 1,447)
○ 사업기간 : 2015 ~ 2024년, 3단계로 구성
○ 사업추진체계
- 사업추진주체 :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구미시
□ 사업 내용
○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기술개발용 핵심부품 및 요소기술 선도국을 목표로 7개 분야(소재부품 4, 플랫폼 3)의 기술개발 추진
...................(계속)
목 차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
제 2 장 기초자료 분석
제 3 장 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 4 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 5 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 6 장 종합분석 및 결론
참 고 문 헌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