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인구고령화를 극복하는 지역들, 성장 원천은 무엇인가? -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의 유형별 성장특성과 시사점 -
- 등록일2017-05-17
- 조회수420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5-15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구고령화#초고성장#초고령지역#성장특성#성장원천
- 첨부파일
출처 : 산업연구원
i-KIET 산업경제이슈 제18호
인구고령화를 극복하는 지역들, 성장 원천은 무엇인가?
-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의 유형별 성장특성과 시사점 -
[ 요약 ]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수준의 인구조로(人口早老) 국가로 전락하여 향후 우리 경제 저성장 기조의 가속화가 우려되는 상황
● 지역적 차원의 인구구조는 비수도권 도(道)지역(수도권·광역시)의 고령화 수준은 높지만(낮지만), 고령화 진행속도는 느린(빠른) 특징
고령화가 심화되었음에도 높은 지역성장을 구현하는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은 전국 205개 시군구 중 35개 지역이 존재하여 일반적 인식과 괴리
●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은 산업·인구·공간의 특성에 따라 ‘제조업기반 농림어업 존속형’, ‘서비스업·제조업 동반성장형’, ‘농림어업 특화형’ 등 3개 유형으로 분류 가능
● 이들 지역의 성장특성은 고령지역 및 저성장지역에 성장 촉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
기초지자체는 미래 10~20년을 위한 중장기 지역발전계획을 통한 발전비전 및 정책목표의 명확한 제시와 실행계획 수립으로 지방소멸의 위기에서 탈피가 긴요
고령지역의 고성장 구현을 위해 전통제조업 구조고도화 중심의 제조업 성장촉진 정책의 우선적 추진 및 기존산업 가치사슬의 광역적 연계에 의한 R&D역량 강화를 통한 고부가 가치화를 지향할 필요
비수도권 고령지역의 경우, 귀농·귀촌인구 확대를 통한 제조업의 고용 없는 성장 상쇄 및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에 의한 역내의 산출물 부가가치 증대 등의 농촌·농업 부문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이 효과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