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9 바이오안전성백서
- 등록일2020-01-07
- 조회수699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12-17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2019#바이오#안정성
- 첨부파일
2019 바이오안전성백서
목차
제1부 바이오안전성 확보 노력
제1장 바이오안전성 국제협약
제1절 생물다양성협약과 바이오안전성 020
제2절 카르타헤나의정서 027
제3절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추가의정서 035
제2장 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제1절 유전자변형 생물체법, 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의 발전 044
제2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055
제3절 농림축산식품부 064
제4절 산업통상자원부 076
제5절 보건복지부 088
제6절 환경부 099
제7절 해양수산부 113
제8절 식품의약품안전처 127
제3장 유전자변형생물체 정보관리 및 수출입
제1절 바이오안전성 정보관리 138
제2절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 등 현황 141
제2부 바이오안전성 국제 동향 제4장 주요국 동향
제1절 EU 152
제2절 북미 지역 157
제3절 중남미 지역 168
제4절 아시아·태평양 지역 176
제5절 아프리카 지역 200
제5장 OECD
제1절 생명공학 규제조화 작업반회의 209
제2절 신규식품사료 안전성 작업반회의 212
3부 연구개발 및 산업화
제6장 유전자변형생물체 연구개발 및 관련산업
제1절 작물 218
제2절 화훼 250
제3절 나무 262
제4절 곤충 270
제5절 어류 282
제6절 동물 291
제7장 유전자가위 기술
제1절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동향 301
제2절 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연구개발 동향 309
제3절 세계 각국의 유전자가위 기술 규제 동향 316
제4부 공공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제8장 KBCH
제1절 바이오안전성 커뮤니케이션 328
제2절 바이오안전성 국내 인식 340
제9장 NGO 활동
제1절 국내 NGO 활동 357
제5부 2017~2018 바이오안전성 쟁점
제10장 국내 쟁점
제1절 국내 미승인 GM작물 발견 및 후속조치 366
제2절 국내 미승인 GM밀 검역 및 후속조치 374
제3절 국내 미승인 GM관상어 발견 및 후속조치 376
제11장 국외 쟁점
제1절 미국의 유전자변형식품 의무표시제 380
제2절 미승인 GM작물 발견 및 후속조치 385
제3절 새롭게 상업화되는 GM작물 387
제1장 바이오안전성 국제협약
제1절 생물다양성협약과 바이오안전성
1. 생물다양성협약
가. 국제환경협약과 생물다양성협약의 발전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권국가 간의 광범위한 대응 을 위한 국제협력이 본격적으로 개시된 것은 “오직 하나뿐인 지구”라는 기치 아래 1972 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유엔인간환경회의(UN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가 처음이다. 이에 따라 1972년 제27차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결의 2997호 에 근거하여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UNEP)’이 설립되 었다. 인간생활 및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협력을 추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인 국제환경기구인 UNEP은 국제환경협약 체결을 주도하고 있다. 2019년 5월 현재까지 체 결된 국제환경협약은 총 200여 개에 달한다.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세계지도자들은 건강하고 살아 있는 지구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한 ‘유엔환경개발회의(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UNCED)’를 개최하였다. 리우회의에서 183개 참가국들은 지속가능한 개 발을 위한 포괄적인 계획에 합의하였는데,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은 리우회의에서 채택된 국제환경협약들 중의 하나이다. 리우회의에 서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과 「기후변화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FCCC)」은 1994년 프랑스 파리에서 채택된 「사막화방지협약(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CCD)」과 함께 세계 3대 환경협약으로 불린다. 1992년 5월 22일에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은 1992년 6월 5일 서명을 위해 개방되었 고, 1993년 12월 29일 발효된 동 협약은 2019년 5월 현재 196개국(EU 포함)이 가입한 보 편적인 국제환경협약이다. 우리나라는 1994년 10월 동 협약에 가입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2025 바이오 미래 유망기술(상)] 항노화 항체 치료제 연구 최신 동향 2025-05-21
- BioINpro [2025 바이오 미래 유망기술(상)] 분자 접착제(Molecular Glue)의 동향과 미래 2025-05-21
- BioINglobal 글로벌 바이오제약산업 2024 리뷰 및 2025 전망 2025-05-19
- BioINpro [2025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바이오파운데이션모델: 2025년 주목해야 할 차세대 바이오 혁신 기술 2025-05-19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단기 기술영향평가 방법론 및 실증연구 2025-04-30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