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1형 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펌프 사용의 안전성, 유효성, 비용효과성 체계적 문헌고찰

  • 등록일2020-06-25
  • 조회수492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제1형 당뇨병#연속혈당측정기#인슐린펌프
  • 첨부파일
    • pdf 제1형 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펌프 사용의 안전성 ... (다운로드 17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형 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펌프 사용의 안전성, 유효성, 비용효과성 체계적 문헌고찰
 
최인순, 김희선, 황성희, 김희원, 노윤미
 
 
[목  차]
요약문 
Ⅰ평가개요
  1 평가배경
   1.1. 제1형 당뇨병의 국내외 현황
   1.2. 제1형 당뇨병 관리의 중요성
   1.3. 소아당뇨 어린이 보호대책
   1.4. 관련 문헌 및 가이드라인 검토내용
 2. 당뇨병의 특성
 
제1부 연속혈당측정기
I. 서론
II. 평가 방법
III. 평가결과
IV. 결론 및 토의
 
제2부 인슐린펌프
I. 서론
II. 평가 방법
III. 평가결과
IV. 결론 및 토의
 
 
요약문
 
1. 연속혈당측정기

◆ 평가목적
 
  연속혈당측정기는 메드트로닉사(Medtronic, Minneapolis, MN, USA)에서 처음 개발되어 1999년 6월 미국 FDA 승인을 받았으며, 혈당 변동 폭이 크고, 저혈당이 빈번한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연속혈당측정기는 센서를 활용하여 체내 혈당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당뇨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해당 기기는 연속적인 혈당 검사에 활용한다.
제1형 당뇨병환자가 의사(내과ㆍ소아청소년과ㆍ가정의학과 전문의)가 발급한 제1형 당뇨병 소모성 재료 처방전(처방기간 90일 이내)에 의하여 자가혈당측정에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한 의료기기판매업소에서 구입 및 사용한 경우에 건강보험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의 안전성, 유효성, 비용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된 임상적 유효성 및 경제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자료 마련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을 의뢰하였다.
이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본 연구를 통해 "제1형 당뇨병 환자가 연속혈당측정기를 활용하여 혈당관리를 하는 것은 자가혈당측정방법과 비교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 비용효과성이 있는가?'를 핵심질문으로 선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평가방법
 
분석평가에 최종 선택된 문헌
연속혈당측정기의 안전성, 유효성, 비용효과성에 대한 검토는 질적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SR)을 통해 평가하였다. 안전성, 유효성(안ㆍ유) 분석은 SR로 국한하여 검토한 결과 총 11편의 문헌이 선택되었다. 비용효과성 분석용은 문헌의 연구 유형에 제한을 두지 않았고, 선택된 문헌은 4편이었다.
 
 
◆ 평가결과
 
안전성
안전성 분석 결과, 선택된 문헌에서 보고된 연속혈당측정기로 인한 합병증과 부작용 결과는 선행연구(주예일 등., 2018)와 동일하게, 연속혈당측정기로 인한 부작용으로는 '중등도의 질'로 평가된 2편의 연구에서 센서 부착부위의 피부 농양, 피부자극 등을 보고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속혈당측정기로 인한 부작용은 보고된 사례가 드물고 관련된 이상반응이 미미한 것으로 보고 피부관련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사용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유효성
  유효성 결과는 연속혈당특정기의 유효성은 선행연구(주예일 등., 2018)에서 사용한 지표에서 당화혈색소(HbA1c) 변화량, 고혈당 발생정도, 저혈당 발생정도, 삶의 질 등의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제1형 당뇨의 소아청소년 대상으로 진행된 주예일 등. (2018)의 연구에서는 '높은 질'로 평가된 6편의 문헌 모두에서 연속혈당측정으로 인한 당화혈색소(HbA1c) 변화량은 자가혈당측정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고하고 있었고, '중등도의 질'로 평가된 5편의 연구에서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연속혈당측정법이 소아 제1형 당뇨에서 자가혈당측정법에 비교하여 동등이상의 당화혈색소(HbA1c) 감소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므로 유용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 소아청소년과 성인에서 연속혈당측정법이 자가혈당측정법에 비교하여 동등이상의 당화혈색소(HbA1c) 감소효과 보고하고 있음에 따라 유용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저혈당 발생정도는 발생빈도와 발생시간, 발생위험비 등으로 비교되었다. 우리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주예일 등., 2018)와 같이 소아청소년 및 성인에서 연속혈당측정으로 인한 저혈당 발생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정상 '높은 질'의 연구 2편에 포함된 5개 일차문헌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다. '높은 질'로 평가된 Langendam et al.(2012)의 연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두 연구가 모두 연구 시작 전에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지 않아 이후 인슐린 펌프와 CGM을 함께 사용하였기 때문에 환자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우리 연구도 선행연구(주예일 등., 2018)와 같이 소아청소년과 성인에서 연속혈당측정이 자가혈당측정을 수행하는 것보다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단, 최근에 평가한 제1형 당뇨병 성인에서의 삶의 질을 평가한 DIAMOND 연구(2017년)에서는 당뇨병에 대한 저혈당 관련 신뢰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스트레스 감소와 웰빙, 건강상태, 저혈당 공포 등의 개선, 특히, 수면이나 운전 중 심각한 저혈당 문제로부터 안전에 도움을 준다고 한 바, 추가 연구를 통해 재평가될 필요가 있겠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