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생물다양성위협외래생물관리기술개발사업

  • 등록일2020-12-10
  • 조회수416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0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다양성#외래생물
  • 첨부파일
    • pdf (19-3차) 외래생물관리 기술개발사업 특정평가 보고서 (고용수)... (다운로드 5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생물다양성위협 외래 생물 관리기술개발사업 

  

 

고용수 연구위원(KISTEP 연구진)



1. 사업개요

○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 전체 및 외래생물 대상 사전예방·예찰 및 위해성평가-제거 등 외래생물 관리 전주기 기술개발

※ '16. 4월 예타(시행): '17~'23년(7년), 총사업비 795억원(국고 742억원)

 사업명 부처  세부사업   관리전문 기관  연도별 예산(억원)
 17년 18년 19년  20년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환경부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20 20  10.06  35.4 

 농식품부

(검역본부)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4 18  18.1  18.2 
 농진청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농진청  4 38  38  34 
 산림청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한국임업

진흥원

 2  3  3

○ 부처별 역할분담

 

구분

사유 및 근거

역할 분담

대상 생물

환경부

생물다양성법 주관 생물다양성

관련 국내정책 총괄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로 인한 모니터링, 자연 생태계 확산 및 영향 예측, 위해성 평가, 제거 등 외래생물 관리 전반 기술개발

식물, 포유류,

양서・파충류, 어류

검역본부

외래생물 검역 총괄

미유입 위해우려 외래생물의 국내유입 차단을 위한 판별기술 개발

식물(잡초),

무척추동물

(곤충)

농진청

농경지 등 농지생태계 외래생물

(병해충) 관리

농지생태계 대상 외래생물 모니터링, 확산 및 영향 예측, 경제적 피해평가, 제거 기술

식물(잡초),

무척추동물

(곤충)

산림청

산림 등 산림 생태계 외래생물

(병해충) 관리

산림생태계 대상 외래생물 확산 및 영향 예측 기술

무척추동물

(곤충)



2. 평가배경 및 평가이슈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