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생물다양성위협외래생물관리기술개발사업
- 등록일2020-12-10
- 조회수416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0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다양성#외래생물
- 첨부파일
생물다양성위협 외래 생물 관리기술개발사업
고용수 연구위원(KISTEP 연구진)
1. 사업개요
○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 전체 및 외래생물 대상 사전예방·예찰 및 위해성평가-제거 등 외래생물 관리 전주기 기술개발
※ '16. 4월 예타(시행): '17~'23년(7년), 총사업비 795억원(국고 742억원)
사업명 | 부처 | 세부사업 | 관리전문 기관 | 연도별 예산(억원) |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환경부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
20 | 20 | 10.06 | 35.4 | |
농식품부 (검역본부)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 | 4 | 18 | 18.1 | 18.2 | ||
농진청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농진청 | 4 | 38 | 38 | 34 | ||
산림청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한국임업 진흥원 |
2 | 3 | 3 | 3 |
○ 부처별 역할분담
구분 |
사유 및 근거 |
역할 분담 |
대상 생물 |
|
환경부 |
생물다양성법 주관 생물다양성 관련 국내정책 총괄 |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로 인한 모니터링, 자연 생태계 확산 및 영향 예측, 위해성 평가, 제거 등 외래생물 관리 전반 기술개발 |
식물, 포유류, 양서・파충류, 어류 |
|
농 식 품 부 |
검역본부 |
외래생물 검역 총괄 |
미유입 위해우려 외래생물의 국내유입 차단을 위한 판별기술 개발 |
식물(잡초), 무척추동물 (곤충) |
농진청 |
농경지 등 농지생태계 외래생물 (병해충) 관리 |
농지생태계 대상 외래생물 모니터링, 확산 및 영향 예측, 경제적 피해평가, 제거 기술 |
식물(잡초), 무척추동물 (곤충) |
|
산림청 |
산림 등 산림 생태계 외래생물 (병해충) 관리 |
산림생태계 대상 외래생물 확산 및 영향 예측 기술 |
무척추동물 (곤충) |
2. 평가배경 및 평가이슈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watch 시행 가능성이 높아진 미국의 생물보안법(US Biosecure Act), 바이오산업 공급망 재편 압박 2024-12-04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