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1년 제2호. 2019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등록일2021-04-01
- 조회수469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4-0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R&D#정부R&D#정부#정부투자
- 첨부파일
2019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목차
1. 개요
2. 총괄 현황
3.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4. 포트폴리오 심층분석
5. 요약 및 정리
◈작성
여은주 연구원 KISTEP 예비타당성조사3센터 ejyeo@kistep.re.kr 043-750-2652
김한해 연구위원 KISTEP 예비타당성조사3센터 hhkim@kistep.re.kr 043-750-2441
◈본문
2012년 3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는 ‘신약개발 R&D 투자효율화 방안’을 통해 정부 R&D 투자 전략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투자포트폴리오 상세분석과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
∙ 신약개발의 단계, 의약품 종류, 대상 질환을 기준으로 정부 R&D 투자포트폴리오를 분석
투자효율화 방안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2019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현황 및 포트폴리오를 분석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NTIS)를 기준으로 투자 추이(2011년∼2019년), 투자 포트폴리오(2019년)를 분석1) ∙ 신약개발 단계 : 타겟발굴 및 검증, 후보물질도출 및 최적화, 비임상, 임상1~3상, 인프라 및 기타
∙ 의약품 종류: 합성신약, 바이오신약, 한약(생약제제), 개량신약(합성),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
∙ 질환2) : 혈관질환, 호흡기질환, 종양질환(혈액암 포함), 근골격계질환, 면역계질환, 감염증, 정신
질환, 퇴행성뇌질환, 내분비질환, 소화기계질환, 비만, 희귀질환(기타)
*, 기타
* 타 질환에 포함되지 않는 희귀질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