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191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중국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화 이슈 논의 등 ~

  • 등록일2021-06-14
  • 조회수429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6-09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ICT동향
  • 첨부파일


제191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1. 이슈 분석: 

  국내외 자율운항선박 최근 동향과 시사점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중국 차세대 우주정거장 건설 기대성과 발표  
    미국, 중국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화 이슈 논의  
    일본, ‘소재혁신력강화전략(안)’ 마련  
    일본,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조사 
    독일, 에너지 연구 전략과 프로그램 집행 현황 
    EU, 개요 및 예산(안) 확정 
    국제기구, 저탄소 에너지 관련 특허 동향과 에너지 전환
    국제기구, 메탄 배출량 감소의 혜택과 비용 
  2) ICT 30
    초미세 공정에서 패키징까지 차세대 반도체 기술 경쟁 치열 
    메타버스, 코로나19・비대면 시대 맞이해 차세대 플랫폼으로 부상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삼성전자 1위 탈환・후발업체 두각 
    한국, 표준특허 경쟁력 확보하며 新성장 산업 혁신 주도 
    미국, C-V2X 단일 표준 채택…7월 2일부터 시행 예정 
    인도・독일・브라질, 中 통신・네트워크 장비 도입 이슈 
 
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4. 주요 통계 


◈본문


Ⅰ 국내외 자율운항선박 최근 동향과 시사점1)
1 바다 위의 테슬라, 자율운항선박이 온다
▣ 최근 유럽・일본・중국 등 조선・해운 강국들이 자율운항선박 개발 경쟁에 나서 

 ○ 운전자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처럼, 바다에서도 항해사와 조타수가 없어도 스스로 판단・운항하는 자율운항선박이 머지않은 미래에 등장할 전망

 ○ 2018년 5월 국제해사기구(IMO)가 제 99차 해사안전위원회에서 자율운항선박 (MASS2)) 운용 시 영향을 미칠 해사안전・보안 관련 14개 국제 협약 제정 착수에 합의한 이후, 국제적으로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크게 증가

 ○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해, 노르웨이・핀란드・미국・일본・중국・싱가포르 등 조선・ 해운 강국들을 중심으로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 및 시험 항해가 본격 추진

- 유럽은 일찍이 2012년부터 3년간 선박 자율운항을 위한 MUNIN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적, 제도적, 경제적 측면의 타당성을 연구하고 전략 방향을 제시
- 핀란드에서는 2018년 12월 세계 첫 완전자율운항 여객선 ‘팔코(Falco)’가 승객 80명을 태우고 핀란드 남부 발트해 연안에서 시험운항에 성공
- 일본에서는 2019년 10월 일본 선사 NYK가 자동피항시스템 SSR이 적용된 2만톤급 자동차운반선 ‘아이리스리더호’의 시운전에 성공
- 중국에서는 2019년 12월 중국 첫 무인 자율운항선박 ‘근두운0호(筋斗云0号)’가 홍콩- 마카오 구간의 시험 항해에 성공
 
 

1.png


▣ 자율운항선박의 개념
 ○ 자율운항선박의 정의는 발표하는 기관마다 다양하나, 공통적으로 ‘선박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제어하여 운항하는 기술’이라는 개념을 포함3) 
 
-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는 자율운항선박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을 융합하여 지능화・자율화된 시스템을 통해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 및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정의4)
- 스마트 선박, 디지털 선박 등 다른 용어로 혼용되기도 하는데, 본 고에서는 자율운항선박으로 통칭

 

 

2.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