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나노기술연감 2020
- 등록일2021-07-07
- 조회수368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7-07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기술#기술동향#기술정책#투자및 성과
- 첨부파일
나노기술연감 2020
◈목차
총괄개요 : 2020년도 나노기술 분야의 주요 활동 요약
제1장 우리나라 나노기술점책 동향
제1절 제1~4기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제2절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제3절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제4절 2020년 나노기술 사업 추진 현황
제2장 국외 나노기술점책 동향
제1절 미국
제 2절 일본
제3절 중국
제 4절 EU
제 5절 독일
참고문헌
제3장 나노기술 연구개발 투자 및 성과
1. 정부 연구개발투자
2. 민간 연구개발 투자
3. 특허
4. 기술료 및 사업화 성과
제4장 나노산업 현황
제1절 일반현황
제2절 나노융합기업 현황
제3절 나노융합제품현황
제5장 나노인프라 현황
제1절 나노팹 현황
1.개요
2. 파급 효과
3. 나노종합기술원
4. 한국나노기술원
5. 나노융합기술원
6. 나노기술집적센터(전북)
7. 나노기술집적센터(광주)
8. 나노융합실용화센터
제 2절 나노특화시설 현황
1.개요
2.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실험실
4. 경북대학교 반도체융합기술연구원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 나노팹 센터
6. 전남바이오산업 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7.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중앙기기센터
8. 철원 플라즈마산업기술 연구원
9. 밀양 나노금형상용화지원센터
10. 주요 대학 보유팹(FAB) 현황
제 3절 국내 나노 관련 지원 기관
1.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3. 나노기술연구협의회
4.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
5. 나노융합2020사업단
6.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7.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
제6장 인력양성및교육•훈련
제1절 나노전문인력현황 298
1. 나노융합산업 인력 현황(산업 분야)
2. 나노 관련 기관 인력 현황(연구 분야)
제2절 나노분야교육 훈련
1. 연구인력 양성 교육(나노인프라를 활용한 전문 인력 양성)
2. 나노-e-아카데미(온라인 교육)
3. 기업체 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
제 7장 나노안전성 및 표준화
제1절 나노안전성
1. 국내외 나노물질 정의현황
2. 국제 정책 동향
3. 국내 정책및 규제 동향
제2절 나노표준화
1. 개요
2. (ISO/TC 229) ‘나노71술’ 관련 표준화
3. (I EC/TC 113) '전71전자 제품 및 시스템의 나노71술’ 관련 표준화
4. (ISO/TC 201) ‘표면 분석’ 분야의 나노기술 표준화
5. 국내나노기술표준화
참고 자료
제 8장 나노 관련 행사 • 활동
제1절 나노코리아2020(2020.07.01 -03)
제 2절 나노피아2020(2020.11.19-20)
제3절 2020나노융합성과전 (2020.11.26)
제 4절 NCC 2020(2020.01.16시 7) 4
제 9장 국제협력 활동
제1절 OECDBNCT 활동
제2절 Asia Nano Forum (AN F)
제3절 산업 협력활동(베트남)
제 10장 국민 이해 및 지식 확산
제1절 중 고등학생을대상으로 하는퍼블릭프로그램 운영 (나노코리아2020)
제2절 나노영챌린지2020
제3절 2020년 10대 나노기술 선정 및 홍보
제4절 세상을바꾸는 시간15분
제1절 2020년도 나노기술 연구개발 성과 현황
제2절 2020년도 나노기술 사업화 성과 현황
제3절 2020년도 나노기술 정책현황
제4절 2020년도 나노기술 연표
제5절 2020년도 나노기술 홍보
◈요약문
2020년도 나노기술 분야의 주요 활동 요약
▣ 정책
•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및 확정(2021.04)
- 2020년 6월에 10개 부처 및 주요 전문가가 참여하는 ‘관계부처 추진위원회’와 ‘기획위원회’를 구성하여 제5기 계획 수립에 착수
-2020년 12월까지 총괄 워크숍,분과 회의 등을 50여 회 이상 개최하여 계획안을 마련하고, 산•학•연 나노 전문가가 참여하는 온라인 공청회 개최,부처 의견 수렴을 거쳐 2021년 4월에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본회의에 상정하여 계획안을 의결
• 2020년 및 2021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수립 및 확정
-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6-’25)’에 따라 나노기술 분야 지원에 대한 참여 부처의 2019년도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부처 간 연계•협력을 반영한 2020년도 시행계획을 수립 (2020.04)
-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6- ’25)’에 따라 나노기술 분야 지원에 대한 참여 부처의 2020년도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21-’30)’에 따라 부처 간 연계 •협력을 반영한 2021년도 시행계획을 수립(2021.05)
• 2020년 나노기술 분야 주요 사업 추진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 : 나노소재 분야 기초연구 성과와 사업화를 연계하는 허리형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
-소재융합 혁신기술 개발사업 : 대외의존도가 높은 주력 산업 분야 소재•부품의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
-나노융합 혁신제품 기술개발사업 : 다양한 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나노융합 혁신 제품(부품•모듈)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
-나노제품 성능•안전 평가기술 및 기업 지원사업 : 나노 제품의 성능 및 안전성 검증 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의 지원 시스템 마련을 위한 사업
-나노융합산업 현장수요기반 실증지원사업 : 나노 소재 •부품의 수요처 요구에 맞는 제품개발과 현장 실증을 통한 트랙레코드 확보,수요-공급간 제품 채택 및 협업 촉진을 위한 사업
투자, 연구개발
• 나노기술 분야 연구개발 정부 투자
-2020년에는 12개 부처 •청 및 15개 출연(연)에서 나노기술 분야에 9,163억 원을 투자,정부연구개발(R&D) 총 투자액(24조 2,558억 원)의 4% 차지
• (부처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986억 원(54%),산업통상자원부 1,402억 원(15%),교육부699억 원(8%),중소벤처기업부 414억 원(5%) 순으로 투자
• (부문별) 연구개발 6,852억 원(75%),인력양성 1,180억 원(13%),인프라 1,130억 원(12%)순으로 투자
- 2021년 나노기술 분야의 정부 투자 계획은 9,778억 원(2020년 대비 7% 증가)이며,연구 개발 7,911억 원(81%),인프라 858억 원(9%),인력양성 1,008억 원(10%)으로 구성
• 나노기술 분야 논문특허 성과
- (논문) 2020년 전 세계 나노기술 분야 SCI 논문 건수는 177,375건이며,그중 한국 SCI 논문 건수는 9,815건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하여 세계 4위를 유지
• (국가별 순위) 1위 중국 73,776건,2위 미국 24,286건,3위 인도 14,245건,5위 독일 8,728건
• (연평균 증가율) 2011〜2020년 기준으로 한국 나노기술 분야 SCI 논문의 연평균 증가율은 5.2%로 전체 연평균 증가율 7.9%보다 낮은 수준
- (특허) 2020년 미국특허청(USPTO)의 나노기술 분야 등록특허는 15,417건이며,그중 한국 출원인의 등록특허는 1,143건으로 전체의 7.4%를 차지하여 출원국가 순위로 3위를 유지
• (출원국가별 순위) 1위 미국 7,722건,2위 일본 1,405건,중국 1,066건,독일 681건
• (연평균 증가율) 2011〜2020년 기준으로 한국 출원인 등록특허의 연평균 증가율은 7.2%로 전체 연평균 증가율 5.8%보다 높은 수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