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PD 이슈리포트알림 · 정보 R&D 자료 PD 이슈리포트 KEIT PD 이슈리포트 2021-12월호 : 이슈2(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 등록일2022-01-03
  • 조회수337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2-31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서비타이제이션#시사점
  • 첨부파일
    • pdf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_의료... (다운로드 17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PD 이슈리포트알림 · 정보 R&D 자료 PD 이슈리포트 KEIT PD 이슈리포트 2021-12월호 : 이슈2(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목차

 

목적
주요현황
시사점 및 정책제안




◈본문


목적

 

★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의 시장동향 및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현황
★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19년 1,063억 달러에서 2026년 6,394억 달러로 연평균 29.2%씩 성장이
전망됨
★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또한 2018년 1.9조 원에서 연평균 약 16.13%의 성장률을 보이며, 국내 우수한
의료 인프라와 디지털 기술 수준을 고려하면 규제 개선 및 완화될 시 성장 잠재력이 높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 국내의 고도화된 IT인프라, 선진적 의료시스템과 다양한 의료데이터 보유,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헬스분야에 대한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 디지털 관련 축적된 기술 등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을 위한
성공요인 충분
★ 의료기기에 IT 및 통신기술과 서비스를 접목하여 의료기기 사용 환경을 전통적 의료에서 생활 속
디지털헬스케어로 확장하는 신산업 창출 전략 필요
★ 헬스케어 제품 서비스화를 위한 산업군 내 다수의 이해관계자(수요자, 정보제공자, 정보취합 및 분석,
통신사, CRO, 규제관계자 등) 간 협력을 유도하여 비즈니스화까지 혁신 필요
★ 중소 벤처 중심 헬스케어 기업군의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한 정부차원의 글로벌 데이터 표준화, 인증 규제
상호운용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및 지원이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