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1년 상반기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 특정평가 보고서

  • 등록일2022-02-03
  • 조회수342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1-2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
  • 첨부파일
    • pdf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농진청)+특정평가+보고서_최종안... (다운로드 4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21년 상반기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 특정평가 보고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평가방향 및 주요 이슈
제3장 新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 일반 현황 분석
제4장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추진전략의 적절성
제5장 사업관리체계의 효과성
제6장 결론 및 권고사항
참고문헌




◈본문


제1장 서 론


제1절 사업 개요 및 평가 배경

1. 사업 개요
 
본 특정평가의 대상사업인 新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은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주관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선행사업인 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사업(’09~’19년(총 11년), 총사업비 1,667.4억 원) 종료 후에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를 통해 ‘시행’ 결론 도출(’19.3) 후 ’20년 착수한 후속사업이다. 사업기간은 2단계 각 4년(’20~’27년, 총 8년)이며, 총사업비는 예타 대안 기준 2,009.1억 원(국고: 1,948.8억 원, 민자: 60.3억 원) 규모이다. 동 사업은 ‘新기후체제(Post-2020)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평가, 정밀예측 기반의 농업생산기술 개발 및 선제적 재해대응체계 구축으로 국가식량안보 구현’을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생산환경 변동 예측 및 평가’를 기반으로 ‘기후 적응형 농축산 재배·사양기술 개발’, ‘농업 기상재해 피해저감 기술 개발’, ‘기후변화 완화 및 저탄소 농업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사업내용으로 하는 4개의 내역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표 1-1 참조).
 
동 사업은 농진청 공동연구사업으로서 사업을 주관하는 농진청이 사업관리를 수행하고, 농진청 산하 4개 과학원(국립농업과학원(이하, ‘농과원’), 국립식량과학원(이하, ‘식량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하, ‘원예원’), 국립축산과학원(이하, ‘축산원’))과 산·학·연·관 연구기관이 연구개발 수행주체로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캡처1.png

 
동 사업은 본 특정평가 시점(’21.4) 기준, 사업 2년차로서 전략계획서 점검을 통한 사업성과목표 및 지표 설정과 이에 따른 3년 주기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중간평가)는 아직 받지 못한 상태이며, 현재 예타를 통해 설정된 사업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적용하여 사업성과를 관리하고 있다(표 1-2 참조). 

캡처2.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