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22

  • 등록일2022-02-17
  • 조회수334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2-1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헬스#보건산업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22


◈목차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Aetion, 인공지능 업체인 Replica Analytics를 인수
   - 일본 제약업계, DX추진 과정에서 제조현장 보안강화 필요성 제기
   - 인도 Qure.Ai, 미국 FDA로부터 510(k) 승인 획득
   - ADB, 아·태 지역의 건강보험시스템과 디지털헬스 전략을 분석
   - Medtech 기업, 생명과학 산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진출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21년 사상 최대 투자자금 유입

4대 보건산업
   - 미국 CSIS, 전염병 관리를 위한 8가지 정책 제안 제시
   - 독일 BMBF, COVID-19 치료제 연구 지원
   - 덴마크, Omicron의 하위변종 BA.2가 급속하게 확산
   - 일본, ‘순환기 질병 종합지원센터’ 운영 예정
   - 베트남, 의료기기에 대한 새로운 법령 발표
   - 화장품 Microbiome, 신제품 개발의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부상
   - WEF, ’22년 헬스케어 산업 전망
   - Brookings 연구소, 정밀 의료의 발전 모델을 제안




◈본문


디지털 헬스케어


미국 Aetion, 인공지능 업체인 Replica Analytics를 인수
 

■ 실제임상사용증거(real-world evidence, RWE)를 기반으로 하는 헬스케어 업체인 미국 에티온(Aetion)社는 개인정보보호가 가능한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를 제공하는 인공지능(AI) 업체인 레플리카애널리틱스(Replica Analytics)社를 인수
-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Aetion은 실제임상사용증거(real-world evidence, RWE)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데이터 분석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RWE 기반 플랫폼은 약물의 안전성, 효능 및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데이터를 분석
-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자는 이러한 통찰력을 사용하여 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에 지침을 제공하고 보험회사(payers)의 경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보험급여(reimbursement)를 결정
- 그러나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인해 분석할 수 없는 많은 데이터가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합성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Replica Analytics가 Aetion을 지원할 예정
[ MedCityNews, 2022.01.04.; Fierce Healthcare, 2022.01.05.]
 
 
일본 제약업계, DX추진 과정에서 제조현장 보안강화 필요성 제기
 
■ 최근 일본 제약회사의 가치사슬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DX)이 가속화되면서 제약회사의 사업변혁을 촉진하고 기업 가치와 경쟁력을 높이고 있지만 한편으로 사이버 리스크도 증대
- 제약회사가 직면한 사이버 리스크는 임상시험 정보나 환자정보 등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넘어 제조현장을 제어하는 운영기술(Operational Technology, OT) 환경으로 확대
- 제약업계의 OT 보안은 △랜섬웨어 공격 △COVID-19 백신 및 치료제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한 사이버 스파이 △공장 OT 시스템이 사내외 네트워크와 연결되면서 커진 공급망 공격 리스크 등 다양한 위협에 대처해야 하는 상황
- OT 시스템의 보안강화는 △경영진의 주도하에 △지식체계를 정비하고 △보안 시스템 도입 및 갱신을 추진하며 △현재의 정보공유 구조를 활용해 위협동향, 사건정보 공유뿐만 아니라 보안대책 관련 지식 공유가 필요
- OT보안 대응은 아직 역사가 짧아 많은 제약회사가 동일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란 점에서 일단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면서 제약업계 전체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
[ PWC, 2022.01.11.; SOMPOリスクマネジメント, 2021.10.21.]
 
 
인도 Qure.Ai, 미국 FDA로부터 510(k) 승인 획득
 
■ 인도 의료AI 스타트업 큐어닷에이아이(Qure.AI)社는 최근 호흡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호흡관(Breathing Tube)이 제대로 삽입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qXR-BT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승인 획득
- Qure.AI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qXR-BT는 흉부 X-레이 사진을 통해 호흡관이 제대로 삽입되어 있는지를 자동적으로 측정하여 의사에게 호흡관 삽입술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알고리즘을 지칭
 * 미국 FDA의 510(k) 승인 제도는 인체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기인 이식용 심장 밸브 등의 Class 3 의료기기와 소프트 콘택트 렌즈나 수술용 멸균 거즈와 같은 Class 2 의료기기 일부에 적용되는 시판전 승인 제도를 의미
- 환자의 호흡기에 튜브를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은 병원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되는데, 잘못 삽입될 학률이 25%에 달함에 따라 미국 병원 중환자실에서 연간 12만 여명에 달하는 환자들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보고
- Qure.AI의 qXR-BT 알고리즘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호흡관이 제대로 자리잡고 있는지를 1분이내에 판독하여 의사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거치형이나 휴대형 X-레이 기기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개발
[ ITN, 2022.01.22.; MobiHealthNews, 2022.01.2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