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Bio분야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Ⅰ: ARPA-H 설립을 통한 보건의료기술 혁신화 전략 동향
- 등록일2023-02-14
- 조회수2806
- 분류정책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3-02-0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ARPA-H#미국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Bio분야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Ⅰ: ARPA-H 설립을 통한 보건의료기술 혁신화 전략 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79
◈ 목차
I. ARPA-H란?
II. ARPA-H와 기존 연구 지원 정책들의 차이점과 그 목적
III. ARPA-H 모델의 도전점 (Challenge)
IV. 한국형 ARPA-H에 대한 고려사항
V. 결론
◈본문
Ⅰ ARPA-H란?
⊙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4월 28일 미국 상원의회에서 진행한 연설에서 처음으로 의료고등연구계획국(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 이하 ARPA-H)의 설립 계획을 밝힘1).
⊙ 바이든 대통령은 12년전 미국 GDP의 2% 가량이 혁신 기술 연구에 투자되었지만, 현재는 1% 미만이라며, 중국 및 다른 국가들이 미국의 기술적 우위를 위협하는 상황을 타계할 필요가 있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함.
⊙ 특히, 미국과 중국의 바이오테크 기술 격차는 급격히 좁혀지고 있으며, 이는 투자규모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 2021년 Nature Biotechnology에 게재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2019년과 2020년 바이오테크 IPO(initial public offering) 투자금액 기준, 전세계 바이오테크 IPO 규모의 59%를 차지하던 미국 기업의 비중이, 2020년에는 50%로 하락하고, 중국 기업의 비중은 2019년 24%에서 34%로 급상승함2).
⊙ 이런 중국의 바이오테크 궐기를 방지하고, 바이오테크 주도권을 지키기 위해 바이든 대통령은 3년간 약 65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여,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 미국의 국방력 향상을 위해 설립되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온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이하 DARPA)를 벤치마킹한, 보다 혁신적인 보건의료 연구를 진행할 ARPA-H를 창립하게 된 것3).
⊙ 바이든 대통령은 전 오바마 행정부 부통령 시절에도 암 백신 개발 사업 Cancer Moonshot을 진두지휘할만큼, 바이오테크 및 보건의료산업에 관심이 깊은 인물로, 이번 ARPA-H를 통한 미국의 바이오테크 혁신 기술 역량을 강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파악됨.
⊙ 바이든 대통령은 ARPA-H의 첫 수장으로 Renee Wegrzyn 박사를 임명하였는데, Wegrzyn 박사는 원래 DARPA 생물 기술국에서 프로그램 매니저로서 근무하였고, 그 후 미국 바이오테크 Ginkgo Bioworks에서 사업개발 부장을 지냄. 학계, 정부, 바이오테크 업계를 모두 경험하였으며, 실제로 DARPA 모델을 운영해본 인물로서 각 분야를 연결하여 협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 적합한 인물로 평가됨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미국 ARPA-H가 추진하고 있는 23개 프로그램 2025-04-24
- BioINwatch 미국 정부효율부(DOGE)의 R&D 예산 및 인력 축소 정책 2025-04-16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미국 정부 R&D 예산(안) 2025-02-19
- BioINwatch 시행 가능성이 높아진 미국의 생물보안법(US Biosecure Act), 바이오산업 공급망 재편 압박 2024-12-04
- BioINpro [바이오 산업] 미국 생물보안법 입법화와 국내 바이오산업의 대응방향 2024-11-22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