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현장 중심 연구시설·장비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
- 등록일2023-03-21
- 조회수244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2-2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현장 중심#연구시설#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
- 첨부파일
현장 중심 연구시설·장비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
◈ 목차
⑴ 소개
⑵ Hot Issue
⑶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 추진 전략 및 과제
⑷ 관련 통계
⑸ 한걸음 더
◈본문
소개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은 국가 연구시설・장비 관련 정책의 비전, 목표, 추진 방향 등을 제시하는 중장기 발전전략으로서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매 5년마다 수립됩니다. 정부는 고도화계획을 통해 효율적이고 균형 있는 연구개발 추진에 필요한 연구개발 시설과 장비 등을 구축, 확충・고도화, 관리・운영・공동활용 및 처분하기 위한 시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구장비란?
100만 원 이상의 구축비용이 소요되며, 1년 이상의 내구성을 지닌 연구개발을 위한 유형의 비소비적 자산
→ 일정한 규모와 활용기간, 연구목적을 가짐
연구시설이란?
특정 목적의 연구개발 활동(시험, 분석, 계측, 교육, 훈련 등)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장비와 설비 등으로 구성된 독립적인 연구공간
→ 특정 목적을 가진 연구장비 + 공간개념 결합
대형연구시설・장비란?
입자가속기, 거대망원경 등 첨단연구분야에 활용됨으로써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대규모 연구시설・장비
→ 대규모 예산과 장기간 구축기간 동반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2022.11.29),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11),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2027)(안).”
Hot Issue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에서는 1, 2차 고도화계획의 성과와 대내외 환경 분석 및 다양한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현장 중심의 연구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핫이슈에서는 연구시설・장비의 전략적 구축과 연구자와 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추진 전략과 과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