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약바이오산업 국내외 트렌드 분석(글로벌 빅파마와 국내기업의 M&A 동향) 外

  • 등록일2023-05-11
  • 조회수3283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약바이오산업 국내외 트렌드 분석

-글로벌 빅파마와 국내기업의 M&A 동향-

 

◈ 목차

-글로벌 빅파마와 국내기업의 M&A 동향-

 

■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M&A 현황

■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M&A 현황

■ 글로벌 빅파마의 M&A 추진 이유

■ 시사점 및 정책 제언

 

글로벌 주요 동향

■ CDER, 의약품 공급부족 지원 자금 고갈에 대한 우려

■ FDA 시설유지관리자금재원 변경

■ 의약품 등록 간소화를 위한 글로벌 규제 조화 및 개선 요구

■ 일본항생제 내성 문제에 관한 새로운 계획 승인

■ 모더나팬데믹 이후를 위한 호흡기 질환 백신 공략

■ 미국통증 및 중독 치료 분야 혁신투자 감소

■ 머크, 108억 달러에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 프로메테우스 인수


 

◈본문

제약바이오산업의 인수합병(M&A, Mergers and Acquisition)은 혁신 신기술 확보규모의 경제를 통한 시너지 창출수익 R&D 파이프라인 강화 및 포트폴리오 재편사업영역 확장 등의 목적으로 시행하며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적인 수단

 

■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M&A 현황

 

ㅇ 2014~2022년간 1억 달러 이상 규모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M&A 총 거래액은 약 1조 4,000억 달러(1,800조 원)에 달함

- 2022년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요 M&A(1억 달러 이상)는 73, 920억 달러(약 118조 원)로 거래건수와 투자규모는 전년대비 각각 19%, 12% 감소함. 100억 달러가 넘는 메가딜은 3건으로 암젠-호라이즌(280억 달러), 존슨앤드존슨-에이바이오메드(166억 달러), 화이자-바이오헤븐(116억 달러순임

대규모 거래 대신 전략적으로 위험성이 낮고작은 비용으로 대기업이 동종업계의 소규모 바이오텍을 인수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기업가치를 높이는 볼트온(Bolt-on) 거래가 증가함

- 2023년 3월 13화이자는 430억 달러(약 56조 원)에 미국 씨젠(Seagen) 인수를 발표함이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간 M&A 가운데 올해 최대 규모임

- 4월 16일에는 글로벌 제약사 머크가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인 미국 프로메테우스 바이오사이언스를 108억 달러(약 14조 원)에 인수하기로 밝히고 파이프라인을 확장함

또한지난 3월 10일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 Silicon Valley Bank)의 파산으로 제약바이오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기회가 고갈됨에 따라 중소형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대형 제약사의 M&A 분위기가 조성됨

 

 

■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M&A 현황

 

ㅇ 국내 헬스케어 산업의 M&A는 2022년 175건의 거래가 이루어졌으며거래금액은 약 10조 5,000억 원을 기록함전년 대비 거래건수는 -25%, 거래금액은 +49% 성장률을 기록함거래금액은 개선되는 추세지만 한국 M&A 시장은 글로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중소형 규모가 지배적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