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일자리창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보건의료 R&D 정책이슈
- 등록일2013-09-04
- 조회수10554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기타 > 기타
-
저자/소속
유승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복지사업실
-
발간일
2013-09-04
-
키워드
#BT와 일자리창출#일자리창출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5 : BT와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일자리창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보건의료 R&D 정책이슈
유승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복지사업실 실장
보건의료 R&D 결과는 의료서비스를 통해 공급
보건의료 분야는 농림수산식품 분야와 더불어 바이오 분야의 중요한 영역이며 의료현장이 그 중심에 있다. 과거와는 달리 한 손에는 청진기를 다른 한 손에는 파이펫을 드는 의사들이 늘기 시작했다. 연구개발에 의사들이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의료현장으로부터 다양한 이슈들이 제기되고 연구현장이 활발해진 것이다. 자연스럽게 연구를 주 업무로 하는 생명과학자와 공통의 관심사를 이야기하는 기회가 늘면서 연구도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2년 보건의료 R&D에는 1조 1,043억원이 투자됐고, 연구수행주체 기준으로는 대학(4,914억원), 출연연구소(2,756억원), 기업(2,346억원) 순으로, 연구개발단계 기준으로는 기초(3,465억원), 개발(3,460억원), 응용(2,261억원) 순으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1)
최근 여러 채널을 통해 R&D 투자를 통한 결과들이 어떻게 쓰이고 있느냐가 이슈가 되고 있다.
보건의료 R&D의 최종 결과물은 크게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기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보건의료 R&D와 그 효과중 하나인 일자리창출은 어떻게 연관 지을 수 있을까?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