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결핵 치료제 연구개발 동향
- 등록일2014-10-22
- 조회수11392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저자/소속
김재승 소장/㈜큐리언트 부설연구소
-
발간일
2014-10-22
-
키워드
#결핵 치료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결핵 현황 및 심각성
가. 결핵(Tuberculosis, TB) 이란
결핵은 여러 종류의 Mycobacterium중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전염되며,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성 질환이다. 기원전 5천년경 고대 이집트의 미이라의 폐와 림프선에서 결핵의 흔적이 발견될 정도로 오랜 기간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였으며, 1882년 미생물학자인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비로서 병원체인 결핵균이 발견되었다. 결핵은 활동성 결핵환자의 기침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며 호흡을 통하여 인체에 감염된다. 대부분의 경우는 (80-85%) 폐결핵으로 발생되지만 활동성 결핵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증상이 없으며, 10%의 환자만이 활동성 결핵으로 악화된다. 그러나 적합한 치료의 부재 시에는 사망률이 절반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약제 감수성(drug-susceptible) 결핵의 경우 6개월의 항결핵 표준 치료법으로 완치할 수 있는 질병이지만, 최근, 기존 치료제에 내성을 갖는 결핵균(다제내성 또는 광범위 내성 결핵균)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새로운 치료제의 부재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나. 결핵의 심각성
1) 국내 발생 현황 [1,2]
우리나라는 보건의료수준의 향상과 사회경제적 발전으로 결핵환자수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여전히 결핵 발병률, 사망률에서 OECD 국가 중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매년 약 3만 5천명 이상의 신규 환자 발생하고,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연간 2,300명 이상으로, 국내 법정 감염성 질환 중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유하고 있다. 더불어 20-40대 활발한 생산년령 층의 환자수가 많다는 문제점도 거론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약제내성 결핵 환자 수는 2011년 기준 약 1,800명으로 2010년 대비 15% 증가 하였으며, 치료제 부재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