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R&D KIOSK 2021년 6월호 D.N.A. 생태계 강화 4대 프로젝트 둘러보기

  • 등록일2021-08-09
  • 조회수4258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7-0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D.N.A. 생태계 강화# 생태계 강화 4대 프로젝트
  • 첨부파일


R&D KIOSK 2021년 6월호 D.N.A. 생태계 강화 4대 프로젝트 둘러보기


◈목차

 

소개

Hot Issue
D.N.A. 생태계 강화 4대 프로젝트 둘러보기
프로젝트별 성과 지표
한걸음 더
디지털 뉴딜의 핵심 사업, 데이터 댐


◈본문

 

소개

 

  
세계 각국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문화(Untact Culture)’가 급격히 확산되었고,온라인과 디지털 경제의 활성화가 이루어졌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서도 디지털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디지털 전환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이에 대한민국정부는 ‘디지털 뉴딜’ 시행을 통해 우리 경제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역동성을 촉진하고・확산하여 글로벌 디지털 중심지로 도약하고자 합니다.
 

Kiosk_Issue85_2021_6.pdf - Adobe Acrobat Reader DC (32-bit) 2021-08-09 오전 9_28_22 (2).png

 
 
D.N.A. 생태계 강화를 위한 4대 프로젝트
 
•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에 투자되는 국비(44.8조 원)의 약 3/4을 이 분야에 배정함
• 이 투자를 통해 모든 산업에서 데이터・5세대 이동통신(5G)・인공지능(AI)의 활용과 융합의 속도를 높여 디지털 신제품 및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우리 경제의 생산성을 향상하고자 함
•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아래와 같은 4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Kiosk_Issue85_2021_6.pdf - Adobe Acrobat Reader DC (32-bit) 2021-08-09 오전 9_28_22 (3).png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데이터 구축・개방・활용
• ➊공공데이터: 민간 데이터산업 활성화 및 데이터 기반 서비스・정책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데이터 개방, 공동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계 확대
• ➋데이터 수집・활용: 생산성 증대 및 국민생활 편의 제고를 위해 생활밀접 분야의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확대
• ➌데이터 거래: 분야별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빅데이터 플랫폼을 추가 구축, 플랫폼 간 연계를 강화하여 데이터 소재파악 및 거래
 
편의성 제고, 데이터 거래・유통 활성화
➍AI 학습용 데이터: 인공지능의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언어・이미지・영상 등의 AI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개방 및 가공 바우처 지원
• ➎디지털 집현전: 누구나 쉽게 지식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지식의 공유・확산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통합 플랫폼 구축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기업의 사이버위협 예방・진단・대응 기반 강화
• 예방・대응: 사이버위협에 취약한 중소기업의 보안역량을 강화 하기 위해 보안투자 지원, 보안 위협정보 탐지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운영
• ➋진단・점검: 원격근무・화상회의 이용률 증가 등으로 기업의 SW 보안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SW 보안취약점 진단・점검
강화, 개방형 보안취약점 분석플랫폼 구축

국민 생활밀착형 사이버보안 강화
• 개인용 PC: 비대면 서비스 확산에 따라 사이버위협 노출 가능성이 증가한 개인용 PC의 보안진단・점검 원격 지원
• ➋공공・민간서비스: 촘촘한 국민안전 확보위해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요 공공・민간서비스 시스템(SW)선제 점검 및 주요
웹사이트 심층 보안모니터링 실시
 
사이버보안 산업생태계 구축
• 보안기업 육성: 맞춤형 신기술을 활용한 4대 분야 보안 시범사업 추진 및 AI 보안기술 유망기업 발굴 및 사업화 지원
• ➋수요 창출: 보안 신산업 육성을 위해 보안성이 중요한 공공・민간 분야에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 IoT 제품 공공구매 촉진 및 보안인증 취득 지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