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제3호 BIO-IP ISSUE PAPER 발간

  • 등록일2022-01-03
  • 조회수4240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12-27
  • 출처
    국가지식재산위원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퍼스트 제네릭#미국#선택발명#특허성
  • 첨부파일


제3호 BIO-IP ISSUE PAPER 발간


◈목차


I. 들어가며    

 

II. Hot Issue - 미국 퍼스트 제네릭(First Generic) 사업과 제도 소개  
III. 심층 Study - 선택발명의 특허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엘리퀴스 물질
IV. 바이오-IP 동향 - AI 기반 신약개발 관련 특허전략 검토
V. Search & Analysis - 디지털 헬스케어 IP 동향과 그에 대한 분석 
VI. 정책/지원/인프라 - 한국형 랩센트럴의 성공적 구축을 위한 제언 
VII. 인물/기업탐구 - 예비상장기업 轉비비비 최재규 대표 취재 



◈본문


I. 들어가며 

 

Issue paper의 구성

 

BIO-IP ISSUE PAPER 제3호에서는 바이오 기업 관계자 또는 바이오 IP를 다루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근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다루었다.
첫 번째 이슈는 국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이슈로 '미국 퍼스트 제네릭(First Generic) 사업과 제도'를 소개하 고 있다. 국내 제약회사들의 글로벌 제네릭 사업시 부가가치가 높은 미국 퍼스트 제네릭(First Generic) 사업 의 고려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두 번째 이슈는 '선택발명의 특허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와 관련된 이슈로 BMS•화이자社의 엘리퀴스 물질특 허 소송에 대한 대법원 2019¥10609 판결과 관련하여 선택발명이라는 범주에 포함되는 특허발명들에 대한 진보성 기준이 어떠해야 하는지 말하고 있다.
세 번째 이슈는 바이오-IP 동향에 관한 것으로 AI 기반 신약개발 관련 특허전략 검토*를 주제로 하였다.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드는 신약개발 분야에서 AI 기술의 적용은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특허출 원에서 기술 TOPIC이 어떻게 변해왔는지,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기술과 관련된 특허 포인트는 무엇인지 살 펴본다.
네 번째 이슈는 데이터 3법,비대면 확대 등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는 |디지털 헬스케어 IP 동향과 그에 대한 분석1 을 살펴본다. 디지털 헬스케어와 글로벌 특허 현황,디지털 헬스케어와 비대면 의료가 여는 미래에 대해 제시 하고 있다.
다섯 번째 이슈는 한국형 랩센트럴의 성공적 구축을 위한 제언|으로 올해 상반기 국내 바이오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던 한국형 랩센트럴의 성공을 위해 미국의 랩센트럴 사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핵심 특허를 기반으로 2022년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쥐비비비 최재규 대표'를 취재했다. 20여 년간 의료기기 업계에 종사해 온 최재규 대표가 생각하는 IP경영에서의 핵심을 포함하여 (주)비비비의 IP 경영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