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2023년 3월 바이오안전성 주요뉴스

  • 등록일2023-05-04
  • 조회수2978
  • 분류제도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2023년 3월 바이오안전성 주요뉴스


◈ 목차

1. 법·제도 동향

2. 연구개발 동향

3. 사회경제 동향


 

 

◈본문

1. ·제도 동향

 

한국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국립종자원은 국내에서 생산된 주키니 호박 종자 일부가 LMO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유전자변형생물체로 판정되었다고 밝혔으며관계부처들은 해당 미승인 품종의 판매중단수거·폐기 조치 등을 취하였음정부 관계부처의 후속 조치가 계속 보도되고 있으며발생 배경재배 및 유통 현황에 대해 파악 중임한편아르헨티나 Bioceres의 가뭄저항성 유전자변형 밀(HB4)이 브라질에서 재배 승인을인도네시아에서 식품·사료용 판매 승인을 받아 해당 GM밀 품종이 상업화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국내 대응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한편미국은 멕시코의 GM옥수수 수입 중단 계획에 대해 미국-멕시코-캐나다 간 협정(USMCA)에 따른 공식 협의를 요청하였으며캐나다도 같은 조치를 취함에 따라 향후 3국 간의 협의 경과를 모니터링 할 필요성이 있음

 

□ 국내산 주키니 호박 종자에서 미승인 LMO 확인판매 중단 및 수거·폐기 조치

●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국립종자원은 국내에서 생산된 주키니 호박 종자 일부가 승인되지 않은 유전자변형생물체로 판정되었다고 밝힘

● 정부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LMO)에의해 승인되지 않은 LMO 종자가 국내에 유통됨에 따라 관계기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하였고필요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기로 함

● 농식품부는 LMO에 따라 해당 종자의 판매를 금지·회수하였으며농가에서 재배 중인 주키니 호박에 대해서는 출하를 잠정 중단시키고 전수조사를 통해 LMO 음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출하를 재개하기로 함

● 또한소비자 및 유통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주키니 호박은 즉시 판매를 중단하고 전량 수거·매입을 추진하는 한편주키니 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도 즉시 잠정 판매 중단하고 수거·검사 후 이상이 없을 때 판매를 허용할 예정임

 

※ 현재(2023년 4월 기준), 전체 주키니호박 재배농가 484호 중 17호 농가에서 미승인 LMO 종자가 재배된 것으로 판정되어 폐기를 진행하였으며그 외 LMO가 아닌 주키니 재배농가에 대해서는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를 첨부하여 출하를 재개하였음한편주키니호박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에서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된 사례가 총 27건 확인되어 즉시 판매 차단회수·폐기 등 조치를 취함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