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코호트 역학데이터 품질관리지침 개발

  • 등록일2009-12-28
  • 조회수1305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9-12-28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코호트
  • 첨부파일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코호트 역학데이터 품질관리지침 개발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for epidemiology data quality management in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유전체역학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에서는 한국인 주요 만성질환 관련 환경적, 유전적 위험요인 규명을 위하여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이하 KoGES)’을 통해 대규모 인구집단으로부터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해 오고 있다. 2001년 이후 안성 및 안산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건강검진센터 기반 대규모 코호트, 쌍둥이 가족 코호트, 국내 이주자 코호트 및 국제협력 코호트 등을 구축·운영해 오고 있으며, 2009년까지 18만 명의 기반조사와 약 3만 명의 추적조사를 완료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기반확장 및 추적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KoGES에서는 설문 및 검진조사를 통하여 인구학적 정보, 생활습관, 식습관, 질병력, 의료정보, 신체계측,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의 광범위한 역학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유전체역학 연구를 위하여 genomic DNA, 혈청, 혈장, 뇨 등의 생물자원을 수집하고 있다. 특히, KoGES 각 코호트로부터 수집하는 역학데이터는 필수 조사항목 및 코호트 고유 조사항목에 대한 500-2,500여개의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역학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도 높은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코호트 연구계획 단계에서부터 역학조사 진행과 완료, 데이터 가공, 보관 및 활용 등 코호트 구축·운영의 전 과정에 걸쳐 표준화된 체계적인 역학데이터 품질관리 절차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에 유전체역학과에서는 KoGES에서 수집하는 코호트 역학데이터에 대한 전반적 품질관리 준수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역학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질 관리를 수행하고 양질의 역학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하여 KoGES 코호트 역학데이터 품질관리 지침을 발간하였다[1].


일반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란 기관이나 조직 내·외부의 정보시스템 및 DB 사용자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 및 개선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2], 데이터 품질의   기준은 크게 유효성(validity)과 활용성(utilizability)으로 구분하고, 각 기준별 품질의 특성에 따라 유효성은 정확성(accuracy)과 일관성(consistency)으로 활용성은 유용성(usefulness), 접근성(accessibility), 적시성(timeliness) 및 보안성(security)으로 분류하여 총 6가지의 데이터 품질 기준을 정의할 수 있다[3](Figure 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