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Helicobacter pylori 연관 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영역 암화

  • 등록일2014-03-04
  • 조회수677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4-03-03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후성유전체#Helicobacter pylori#후성유전학#위암
  • 첨부파일
(Epigenetic field for cancerization in Helicobacter pylori-related gastric carcinogenesis)
 
신철민, 김나영, 이동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센터
 
서론
 
전세계적으로 위암 발생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이며 최근 역학 자료를 보면 Helicobacter pylori (이하 H. pylori)는 우리나라 성인의 59.6%가 감염되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1). 또한 H. pylori는 위암의 중요한 발암 요인이라 인정되고 있어 국제 암 연구소 (IARC)에서는 이미 1994년에 H. pylori를 위암 발생에 있어서 Group I carcinogen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H. pylori는 인체의 위 점막에 서식한 후 만성 감염을 일으킨다. H. pylori에 의한 다단계 발암 기전을 보면, 감염 초기에는 만성 표재성 위염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이 발생하며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만성 위축성 위염 (chronic atrophic gastritis), 장상피화생 (intestinal metaplasia) 및 이형성증 (dysplasia) 단계를 거쳐 위선암 (invasive adenocarcinoma)으로 진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