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랩온어칩 기술 기반의 병원체 유전자 및 단백질 분석 시스템 연구동향
- 등록일2014-04-14
- 조회수8417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14-04-11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랩온어칩#단백질 분석 시스템 #병원체 유전자#단백질 분석
- 첨부파일
Research trend of gene and protein diagnosis based on lab-on-a-chip system
한국과학기술원 나노바이오멤스 융합연구실 조민경, 서태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 병원체방어연구과 전준호
I. 들어가는 말
오늘날의 인류는 천재지변이나 동물의 습격 같은 물리적 위협뿐만 아니라, 인류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생물·화학적 위협에도 노출되어 있다[1]. 생화학적 테러물질인 고위험병원체란 생물테러의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사고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될 경우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감염병 병원체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정의하고 있다. 생물학적 테러를 일으킬 수 있는 고위험병원체가 확산될 경우 수많은 사상자를 낼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 나아가 사회적 혼란까지 야기 할 수 있다[2,3]. 2001년 10월, 미국에서 일어난 탄저균 테러를 기점으로 생물학적 테러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으며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하였다. 이 테러로 인하여 22명이 감염되어 5명이 사망했으며, 총 피해금액은 10억 달러가 넘었다[3]. 생물학적 무기는 만들기에 비싸지 않고, 쉽게 살포될 수 있으나 그에 비해 초기에 검출되기 어렵다는 점, 미량으로도 많은 사상자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가 엄청나다. 2009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미친 신종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H1N1)와 같은 전염성 바이러스들 또한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추가 전염 및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막대한 효과와 더불어 전 인류에게 모든 병원체에 대한 백신을 접종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유전자의 초기진단법 발달이 피해를 줄이는 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4,5,6]. 따라서 신속하고 정확한 단백질 및 유전자 검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오늘날의 인류는 천재지변이나 동물의 습격 같은 물리적 위협뿐만 아니라, 인류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생물·화학적 위협에도 노출되어 있다[1]. 생화학적 테러물질인 고위험병원체란 생물테러의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사고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될 경우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감염병 병원체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정의하고 있다. 생물학적 테러를 일으킬 수 있는 고위험병원체가 확산될 경우 수많은 사상자를 낼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 나아가 사회적 혼란까지 야기 할 수 있다[2,3]. 2001년 10월, 미국에서 일어난 탄저균 테러를 기점으로 생물학적 테러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으며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하였다. 이 테러로 인하여 22명이 감염되어 5명이 사망했으며, 총 피해금액은 10억 달러가 넘었다[3]. 생물학적 무기는 만들기에 비싸지 않고, 쉽게 살포될 수 있으나 그에 비해 초기에 검출되기 어렵다는 점, 미량으로도 많은 사상자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가 엄청나다. 2009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미친 신종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H1N1)와 같은 전염성 바이러스들 또한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추가 전염 및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막대한 효과와 더불어 전 인류에게 모든 병원체에 대한 백신을 접종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유전자의 초기진단법 발달이 피해를 줄이는 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4,5,6]. 따라서 신속하고 정확한 단백질 및 유전자 검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중개연구-비임상 효능연구와 그 역할
-
다음글
- 후성유전체와 국제협력연구컨소시엄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