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일차섬모 연구의 중요성
- 등록일2014-04-29
- 조회수8013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4-04-25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일차섬모#섬모#미세소관#세포소기관#편모
- 첨부파일
섬모(cilia)는 미세소관(microtubule)으로 이루어진 골격구조에 의해 세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세포소기관이 다. 섬모와 편모(flagella)는 유사한 구조를 보이는데 진핵 생물의 진화 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원생동물에 서 사람에 이르는 다양한 종에서 발견된다. 19세기에 이미 현미경으로 섬모를 관찰한 논문이 발표가 되었으며, 그 이후 전자현미경의 개발로 섬모의 미세구조가 밝혀졌다.
섬모는 미세소관에 부착되어 있는 모터 단백질의 일종인 ciliary dynein에 의해 운동성을 지니는데, 섬모의 운동성에 관여하는 기전과 운동성 소기관으로서의 기능은 20세기에 심도있게 연구되었다. 인체에서 운동성 섬모는 호흡기, 뇌실, 난관 등의 상피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한다. 반면 인체의 대부분의 세포는 운동성이 없는 일차섬모(primary cilia)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하나씩 지니고 있다(그림1). 일차섬모는 운동성 섬모가 퇴화되고 남은 흔적기관으로 간주되어 오랫동안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