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이종이식의 임상 적용 가능성
- 등록일2014-07-01
- 조회수636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4-07-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이종이식#바이오이종장기#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임상적용
- 첨부파일
이종이식의 임상 적용 가능성
박정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2단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서론
이종이식(Xenotransplantation)이란 일반적으로 동물의 세포나 조직,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동물의 체액, 세포나 조직과 체외에서 접촉한 적이 있는 인간의 체액, 세포, 조직,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 착상, 주입하는 시술도 포함되기 때문에 생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의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과 기대여명이 증가하면서 장기이식을 받으려는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장기기증 건수는 이식대기자 수의 1/10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식용 장기 수급의 불균형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공학, 줄기세포 연구, 재생의학, 인공장기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가까운 미래에 임상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방법으로 이종이식이 손꼽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2004년부터 이종이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이종췌도 이식과 이종각막 이식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물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13년부터 2단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이 출범하였다. 본 글에서는 이종췌도와 각막, 고형장기에 관한 최신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이종이식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