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스마트 팜 내의 식물 표현형(phenotyping)의 중요성과 연구동향
- 등록일2020-01-21
- 조회수494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1-16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4차 산업 혁명#스마트 팜#스마트 팜 정책
- 첨부파일
스마트 팜 내의 식물 표현형(phenotyping)의 중요성과 연구동향
요약문
국가전략에서 농업은 식량안보에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농가 소득의 정체,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문제로 인해 국내 농업 산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더욱이 인간의 산업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는 더욱 가속화 됨에 따라 농작물과 과수작물의 주산지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4차 산업혁명은 과학기술의 일환으로 농업기술에 접목시켜 기존에 전통적인 농업 방식에서 농작물 생산성, 효율성, 및 종족 보존률을 높이고자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예로 4차산업의 기술이 접목된 시스템으로 농작물의 생산, 유통, 소비 등의 산업 전/ 후방 산업을 연계하는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팜이 있다. 하지만 농업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현재로써 미흡한 상황이며, 스마트 팜 내 환경에 적응하여 성장하는 식물에 대한 유전적 변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식물 표현형에 대하여 식물 특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개별 정량 매개 변수들을 고려하여 생물학적 및 비 생물적 스트레스 연구에 대하여 분석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 팜 정책 목표와 방향, 그리고 스마트 팜 기술의 현재 기술을 살펴보고 식물 표현형을 분석하는 대표 방법을 조사하였다.
목 차
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팜
1.1. 4차 산업혁명
1.2. 스마트 팜
1.3.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팜의 연계
2. 스마트 팜 관련 정책 동향
2.1. 스마트 팜 정책 목표
2.2. 스마트 팜 정책 방향
3. 스마트 팜 기술 수준 및 기술개발 방향
4. 식물 표현형
4.1. 식물 표현형
4.2. 식물 표현형에서 이미징 기법의 역할
5. 결론
6. 참고문헌
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팜
1.1. 4차 산업혁명
17세기 중반부터 증기기관의 발명을 시작으로 기술의 발전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인간이 하던 단순 업무를 기계가 맡음으로 인해 생산성의 증대와 함께 삶의 질이 향상되어 왔다. 이후 여러 차례의 특이점을 겪으며 현재 기술 간 장벽을 허물고 융복합하여 새로움을 추구하는 4차 산업까지 도달하였다. 각 산업혁명의 특징과 기여점을 아래와 같이 서술하였다.
① 1차 산업혁명: 증기기관 기반 기계화에 대한 혁명으로 18-19세기 유럽과 북미를 중점으로 생산과정이 기계화되어 농업의 산업화를 이루게 한 혁명을 말한다.
② 2차 산업혁명: 전기 에너지 기반 대량생산 혁명으로 공업의 산업화와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③ 3차 산업혁명: 인터넷과 컴퓨터 기반 지식정보 혁명으로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를 통해 사람이 하기 힘든 복잡한 계산이나 판단 작업 등을 대체하는 혁명을 말한다.
④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토대로 사회•경제 전반에 융합되어 나타나는 혁명으로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 및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혹은 3D 프린팅,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공학, 등이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하여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혁명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