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I 보유기술소개서 (2020년)
- 등록일2020-06-30
- 조회수567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0-06-22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유기술#감염병 확신 예측
- 첨부파일
2020 KISTI 보유기술 소개서
[목 차]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 본부
- 교통량 분석장치 및 교통량 분석방법
- 기계학습을 위한 데이터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대용량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 기술
- 3차원 가상도시기반 침수 예측 솔루션
- 대중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시스템
- 감염병 확산 예측 기술
- 비정형 텍스트 추출 성능 향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학술정보기반 개체 식별데이터 생성기술 및 데이터
- 식별자 기반 잠재적 협업 연구자 탐색
국가 슈퍼컴퓨팅 본부
- 광방출 파장 소재 합성법 및 소재 합성 전산모사 기술
- 딥러닝 기반 교통혼잡 예측을 통한 하이브리드 AI 교통신호 제어 장치
- 위치 및 부하 기반의 오케스트레이션 최적화 기술
- 웹기반 시뮬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기술
- 익형 유동해석 데이터 관리 시스템
- 대용량 CFD 데이터 병렬처리ㆍ가시화 기술
- 사이버 공격 실시간 추적 가시화 시스템
- 인공지능 자동화 플랫폼 및 보안관제 전용 AI 모델
데이터 분석 본부
- 시각화가 가능하고 객관적인 기업 거래관계 분석법
- 의료영상정보 딥러닝 기반의 동적 다차원 질병진단 방법 및 장치
- 데이터 기반 기술사업화 지원 플랫폼
- 경쟁자 논문/프로파일 분석 시스템 COMPAS
- 기계 학습을 통한 치매 예측용 데이터 처리 기술
- 질병 예측 장치 및 방법
- 바이오 시그널 가시화 기반 질병진단 방법
개방형 데이터융합 연구단
- 실시간 지진건물 피해평가 엔진 및 한국 건축물 형태 자동변환 기술
감염병 확산 예측 기술
연구책임자 : 최수범
Keyword : 데이터사이언스, 전염병, 코로나19, 확산 예측
기술 완성단계(TRL) : 기본성능 검증(3단계)
기존 기술의 문제점
기존 질병의 위험도 평가 지표는 대유행의 위험도를 중심으로 지역적 특성 반영 정도가 낮음
→ 중국이나 동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국내에는 반영이 어려움
→ 일반적인 교통, 항공, 지리적 요인만 제한적으로 반영되어 정밀한 예측 어려움
기존 사후처리 중심의 질병 대응 방식에 대한 기술 개발로 신규 전염병에 대한 대응 어려움
→ 미래 발생할 수 있는 신종 바이러스 예측 기술은 독감 바이러스 등 특정 시즌에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유행병에 한정됨
기술 내용 및 차별성
전염병 상관관계를 통한 새로운 전염병 유입에 대한 위험도 예측 및 가시화
기술내용
→ 전염병 발생 이력 정보로부터 국가 간 상관 계수 및 특정 국가에 대한 위험도 설정
→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서버의 형태 및 컴퓨터 시스템 내 프로그램으로 예측 구현
→ 전염병의 정착 여부, 지리ㆍ교통ㆍ무역 국가 간 상관관계에 따른 누적 가중치 갱신 기능
차별성
→ 비교 결과에 따라 국가 간 전염병 상관계수 각각에 대해 가중치 적용하여 확신 예측
→ 전염병 유입에 대한 위험도 가시화를 위한 전염병확산예측장치 기술
→ 동일 전염병 발생추이뿐만 아니라 외적 변수에 따른 차별성을 반영한 상관계수 갱신
→ 새롭게 발병되는 전염병 유입에 대한 위험도의 가시화 가능
주요기술구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