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생명 다양성 보전에 활용되는 보전유전학 연구동향
- 등록일2020-08-10
- 조회수463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7-21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 다양성#보전유전학
- 첨부파일
[BRIC View 동향리포트]
생명다양성 보전에 활용되는 보전유전학 연구동향
전형배(Concordia University, Montreal)
요약문
인간에 의한 대량 멸종은 생명 다양성의 위기 를 가속화시키고 있고 , 이는 인류의 존립을위태롭게 하 므로 반드시 극복되어야 한다 보전유전학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생명 다양성의 유지에 기여한다 첫째 DNA 바코딩과 이를 응용한 eDNA 와 같은 세밀한 진단 도구를 통해 생명 다양성 의 현황을 진단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분자 계통학적 방법론은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은밀 다양성을 발굴하는데 기여하고 생명 다양성의 생성 메커니즘인 종 분화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보전이 필요한 생물들의 실체를 밝히는데 기여한다 셋째 생명 다양성을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해 진단 하는 다양한 도구를 제공해주어보다 효과적인 보전 전략의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보전유전학은 집단의 보전을 위한 다양한 학제의 연구들 을 통해 집단의 절멸을 야기하는 원인 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생명 다양성 의 생성 및 유지 에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효과적인 보전을 위한 근거 기반의 전략 을 수립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 그 어느때보다 대량 멸종의 위기에 직면한 현 시점에서 생명 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학문 영역 으로써 보전유전학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생태학 영역에서 지녔던한계를 보완하는 것을 넘어 점차적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다 여기에는 최근의 NGS 기술의광범위한 보급 도 한 몫하고 있다 불과 수 년 전만 하더라도 유전체 정보는 인간과 모델생물들의 전유물이었지만 , 이제는 비단 인간뿐만 아니라 풍부한 유전체 수준의 분자 데이터를거의 모든 생물분류군에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보전유전학 분야의 성장을 보다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이에 본 동향 리포트에서는 다양한 보전유전학의 기법과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Key Words: Conservation Genetics, Population Genetics, eDNA, Biodiversity, Phylogenetics
[목 차]
1. 서론 멸종의 메커니즘과 보전유전학
2. 본론
2.1. 진단 : 생명 다양성 의 평가
2.1.1. DNA 바코딩과 eDNA 를 통한 생명 다양성 평가
2.1.2. 분자계통학을 통한 생명 다양성 의 발굴
2.1.3. 보전 단위 (C onservation units) 와 보전의 우선순위 C onservation prio rity) 선정
2.2. 유전적 다양성 의 평가
2.2.1. 중립 변이
2.2.1.1. 유효 집단 크기 E ffective population size)
2.2.1.2. 유효 집단 크기 의 역사적 변동 D emographic history)
2.2.1.3. 집단의 유전적 구조 (P opulation structure)
2.2.1.4. 과거에 분화된 분류군 사이의 유전적 흐름
2.2.1.5. 가계분석2.2.2. 적응 변이
2.2.2.1. 후보 유전자 (C andidate genes)
2.2.2.2. 유해 변이 의 축적 Accumulation of D el eterious mutation)
2.2.2.3. 지역 적응 L ocal adaptation)2.3.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이 유지되는 메커니즘
2.4. 인간 활동 에 의해 야기되는 절멸과 진화적 압력 H uman induced evolution)
2.4.1. 포획에 의한 진화 H arvesting induced evolution)
2.4.2. 인위적 서식지 변화와 그에 따른 진화
2.4.3. 생물의 인위적 이주에 의한 진화2.5. 보전유전학이 제안하는 보다 적극적인 보전 전략과 그 유의점
3. 결론
4. 참고문헌
1.서론
멸종의 메커니즘과 보전유전학인간은 태초부터 자신을 둘러싼 생물들이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 했고 , 그 두려움의 흔적은노아의 방주와 같은 전설과 신앙 속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다 . 왜 인간은 생물들의 손실을 두려워하는 걸까 해답은 단순하다 . 그들로부터 우리의 생존을 위한 모든 것을 얻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명 다양성 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 생명 다양성 은 급속도로 감소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부정할 수 있는 증거는 현재로서는 빈약하다 . 대량 멸종에 대한 우려는 일부전문가의 우려에 그치지 않고 이제 사회 전반적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 하지만 , 이러한 우려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생명 다양성 의 감소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대책 마련은 여전히 더딘 상황이고 ,심지어 그 대책이라는 것도 어떤 근거를 기반으로 한 것인지 불분명한 것들이 대다수인 상황이다보전유전학은 그동안 누적된 집단 유전학 (population genetics) 기반의 이론들을 통해 멸종이일어나는 원리를 밝히고 멸종을 방지하고 생명 다양성 을 북돋아 주기 위한 근거를 제공해줄 수있는 학문 분과이다 [ 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