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I ISSUE BRIEF 제23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서비스
- 등록일2020-09-10
- 조회수490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7-24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포스트 코로나#과학기술#지식인프라
- 첨부파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서비스
- 디지털 기반 『Ontact』 환경으로의 전환 -
[목 차]
1. 코로나19가 가져온 경제사회의 변화와 위기 대응 서비스
2. 과학기술 연구환경 변화와 경제사회 환경의 디지털 전환
3. 연구환경의 디지털 전환 요소
4.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서비스
<요약>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의 여파로 비대면 문화가 일상생활 곳곳에 확산되고 있다. 우리의 익숙한 일상이 디지털 환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삶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국가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비대면 문화(언택트) 확산과 더불어 온라인 활동 문화(온택트)가 보편와되는 뉴노멀 시대에 접어들었다. 국내외 주요 기업들은 뉴노멀 시대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환경 개발ㆍ보급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연구환경의 디지털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으로 진행되는 이러한 변화는 빅데이터, 클라우드로 이어지는 혁신기술에 힘입어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더욱 통합적으로 연계ㆍ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코로나19 글로벌 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았듯이 전 세계가 연구자원을 자유롭게 공유ㆍ활용하고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연구환경이 더욱 중요해졌다.
본고에서는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와 국내외 코로나19의 대응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과학기술 연구환경의 디지털 전환은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디지털 연구환경 전환에 필요한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 고찰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서비스의 나아갈 방향과 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