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20-12월호 : 이슈3(산업일자리 고도화 기술동향)

  • 등록일2021-01-18
  • 조회수478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0-12-29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일자리#기술동향#스마트제조
  • 첨부파일

 

산업일자리 고도화 기술동향


최근 제조선진국은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급격한 기술변화와 생산인구감소로 인해 직면한 경제문제 해소를 위해 기계와 인간협업을 중심으로 하는 일자리 관련 기술개발 진행 중
- 4차산업혁명은 일자리의 노동 성격과 노동자 나이에 따라 다양한 시장에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 인구구조는 저출산으로 인한 고령화사회로 진입,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경제위기 및 노동시장 변화 대비 시급
-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플랫폼 등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일하는 방식과 고용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기술적 지원의 중요성 급부상
- 산업일자리고도화 기술은 미래 산업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인력(미래인재), 일거리(신규시장), 일터(공정혁신)에 관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발전
- D.N.A. 핵심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기계중심 생산성 향상 한계를 극복, 인간중심 생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 일자리 전환 지원기술 개발 필요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시사점) 산업일자리고도화는 기술􀀀산업적 측면에서 우리 산업과 경제의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중요한 당면 과제
- (정책제언) 산업일자리고도화 기술은 산업생태계 전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확산 지원 방안 마련 필요


1. 미래 일자리와 산업 변화
4차산업혁명과 일자리의 변화
4차산업혁명은 우리 산업, 노동, 그리고 일자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동인으로 작동할 것이며, 이미 그 변화가 시작
- (산업구조 변화) 산업간 융복합 및 플랫폼 경제 확산
- (노동구조 변화) Gig economy, 플랫폼 노동 등 비상시적 고용구조 확대
- (일자리 변화) 반복적 노동과 비반복적 육체 노동이 필요한 일자리 감소, 비반복적 인지 노동이 필요한 일자리 증가



9.PNG


4차산업혁명은 일자리의 노동 성격과 노동자의 나이에 따라 다양한 시장에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15년 기준 향후 20년전망)
- 노동성격에 따라 단순 반복 노동자의 일자리 감소 확대
-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고연령자의 일자리 감소 확대


10.PNG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플랫폼 등 새로운 기술 발전으로 일하는 방식과 고용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기술적 지원의 중요성 급부상
-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수용할 수 있는 노동자 능력 강조
- 해외 선진국은 산업고도화와 생산직 노동자의 실직에 따른 경제위기를 우려하여 기술과 사람이 함께할 수 있는 정부 정책 추진


일자리 변화?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자동화가 일자리 양극화와 취약계층 일자리 질 저하
→ (역량변화) 디지털정보를 이해·활용하는 디지털 문해력 및 기계·사람 협업능력 중요
◆ 해외 대응? 독일은 산업고도화와 생산직노동자 실직 등에 대응하여, 기계 지능화(인더스트리4.0)와 함께, 노동자의 숙련도를 높여 고용유지를 지원(노동4.0)하는 방안 추진 중

D.N.A. 핵심기술을 활용한 기존 기계중심 생산성 향상 한계를 극복, 인간중심 생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 일자리 전환 지원 기술개발 필요성 증대
- 기존 사업은 대부분 기계 중심의 속도, 정확성, 대량 생산과 같은 기업의 생산비용 절감에 중점을 두었으나, 시장 경쟁력 확보에 한계 봉착
-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소비자가 곧, 기업의 노동자임을 인식하고 기술과 노동자가 함께 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높은 생산성, 지능형 산업 일자리의 개발 요구
 

1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