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뉴로모픽소자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 등록일2021-12-01
  • 조회수4119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1-11-29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뉴로모픽소자#두뇌#신경#고차원
  • 첨부파일


[R&D Brief 2021-25호]

뉴로모픽소자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12)


◈목차


1. 뉴로모픽 소자
2. 왜 주목받고 있나?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4.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5.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6. 향후 기초연구사업에서 어떤 연구들이 필요한가?
7.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연구주제가 있다면?
참고자료



◈본문


1. 뉴로모픽 소자
ㅇ 뉴로모픽 소자란 두뇌와 신경의 동작원리를 모사하여 고차원 인지 및 학습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소자 기술
☞ 뉴로모픽 소자는 인간의 두뇌와 신경처럼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면서 단순 사칙 연산보다는 고차원적인 인지 및 학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아키텍처와 인공 신경망, 즉 인공 뇌를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전자소자 기술을 의미함.
☞ 뉴로모픽 소자의 범위는 뉴런이나 시냅스의 하드웨어적인 구현부터 이들을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시스템 레벨에서의 연구, 이러한 하드웨어 상에서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신경망 기반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까지 포함.
※ 출처 : 차세대 뉴로모픽 하드웨어 기술 동향, 문승언 외 11명, 전자통신동향분석(2018년 제6호)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AI 능가하는 ‘인공 뇌’가 온다(매일경제 2020.07.02.)
☞ 인공 뇌와 신경은 AI, 실시간 얼굴 및 물체 인식, 실시간 문자 번역, 사물인터넷 센서를 시작으로 지능형 로봇, 무인기, 자율주행차 등 인공지능이 활용될 차세대 산업 전반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측
▪ 이러한 인공 뇌와 신경을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뉴로모픽 소자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
▪ 특히 고정확·고성능의 인지 및 학습을 수행하는 데 활용될 뉴로모픽 소자의 경우 선형성, 유지성, 내구성, 다치성, 동작 효율성, 크기 등 요구되는 다양한 성능지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소자의 개발이 매우 중요
▪ 대한민국은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쳐 우수한 인재들이 산학연에 고루 포진되어 있고, 관련 기술 노하우가 많이 축적되어 있어 향후 뉴로모픽 소자 개발 산업에서 매우 높은 경쟁력을 가짐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ㅇ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근 AI를 위한 뉴로모픽 전자소자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관련 논문의 수가 지난 수년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ㅇ 현재 CMOS 기반의 반도체 설계/파운드리/기술 선진국들의 차세대 AI 전자소자에 대한 관련 원천 기술 확보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관련 논문 발표 건수가 지난 10년간 전체 논문 대비 16.3%에서 39.2%로 급증(*한국은 5-6% 유지 및 답보 상태임)
- 뉴로모픽 소자관련 일정 주기별 논문 출판 수 변화(Web of science*)
* Web of science 논문 데이터베이스
(Keywords: Neuromorphic, artificial synapse, artificial neuron, nonvolatile, memristor, neural networks, switch device, switching device, PIM(Processing in memory), sensory synapse, STDP(spiking timing dependent plasticity), synaptic transistor로 검색
 

뉴로픽.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