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신기술 분야별 유관 기관 현황 및 협력 체계 구축 방안
- 등록일2022-04-13
- 조회수4156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28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연구재단#신기술
- 첨부파일
신기술 분야별 유관 기관 현황 및 협력 체계 구축 방안
◈목차
Ⅰ. 서론
1. 디지털 신기술 분야 전문기관 분석의 필요성
2.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핵심 기술 및 전문기관 선정 기준
Ⅱ. 디지털 신기술 분야 주요 현황
1. 인공지능 분야
2. 빅데이터 분야
3. 차세대 반도체 분야
4. 바이오헬스 분야
5. 미래자동차 분야
6. 지능형 로봇 분야
7. 에너지 신산업 분야
8. 실감미디어 분야
Ⅲ. 디지털 신기술 분야 산학연 협력망 구축 방안
1. 산학연 협력망 구축 목적 및 필요성
2. 산학연 협력망 구성 방안(안)
3. 산학연 협력망 네트워크 운영 방안(안)
4.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산학연 연계 협력 방향(안)
5.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산학연 연계 협력 촉진을 위한 제언
6.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산학연 연계 협력 방향(예시)
참고문헌
◈본문
4. 바이오헬스 분야
□ 시장규모 및 전망
◦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 규모는 2018년 1,697억 달러로 추산되며, 2024년 3,920억 달러의 규모의 성장이 예측됨
- 연평균 성장률은 15%로 서비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분야가 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여짐
◦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18년 1조 9,000억 원으로 추산되며, 2024년 4조 7,000억 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세계시장의 약 1.1% 수준이지만, 연평균 성장률은 약 16.3%로 세계 시장 규모의 성장률 15%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수준임
□ 국내외 주요 기업
□ 바이오헬스 분야별 전문기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6G 통신 기술
-
다음글
- [KISTEP브리프] 바이오연료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