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산업기술 동향워치 13호

  • 등록일2022-07-28
  • 조회수3273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7-18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양자기술#규제 개혁
  • 첨부파일

 

 

산업기술 동향워치 13호


 

◈ 목차

이슈포커스

영국 규제 개혁을 통한 혁신 지원 방안 고찰 (英 BEIS, 6.15)


산업⋅기술동향

글로벌 양자기술 발전·투자 현황 (McKinsey, 6.15)

플라스틱의 지속가능성과 순환성 개선 (BAIN & Co., 6.14)

소규모 소매업체의 협력 공급망 모델 (WEF, 6.15)

메타버스의 특성과 경제적 영향 분석 (McKinsey, 6月)

‘22년 글로벌 에너지 투자 전망 (IEA, 6月)

제조업의 국내 회귀·다원화 트렌드 (日 MURC, 6.10)


정책동향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 개최 (美 White House, 6.18)

미국 인재 파이프라인 챌린지 발족 (美 White House, 6.17)

청정에너지 부문 스킬 공동 선언 (歐 EC, 6.16)

에너지 의존도 감축 및 녹색전환 촉진을 위한 EU 정책 정리 (歐 EC, 6.14)

유럽 공공 부문 AI 활용 현황 (歐 EC, 5月)

중국 국가 기후변화 적응 전략 2035 수립 (中 생태환경부, 6.7)

아세안·인도와 미·중·러 간 경제·군사 관계 분석 (日 제일생명경제硏, 6.10)

러시아의 對아프리카 정책 (日 일본국제문제연구소, 6月)

 

 

◈본문




산업기술동향 워치 2022년 13호 요약


구분

주요 내용

페이지

이슈 포커스

∙ 영국 규제 개혁을 통한 혁신 지원 방안 고찰 (英 BEIS, 6.15)

혁신 지원을 위한 규제 개혁의 필요성과 실현 방향을 고찰하고 정책 권고안을 제시

1

산업·

기술

동향

∙ 글로벌 양자기술 발전·투자 현황 (McKinsey, 6.15)

양자기술 분야를 양자컴퓨팅(QC) 양자센싱(QS) 양자통신(QComms)으로 구분하고 ’21년 하반기 자금 조달·생태계양자컴퓨팅의 영향인재 현황 등을 정리

3

∙ 플라스틱의 지속가능성과 순환성 개선 (BAIN & Co., 6.14)

재활용 재료(recycled material) 공급이 미국·EU의 목표 수준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플라스틱 재활용 촉진 및 순환성 증진 방안을 고찰

4

∙ 소규모 소매업체의 협력 공급망 모델 (WEF, 6.15)

의료 소매업체 아메리칸 이글(American Eagle)이 추진하는 콰이어트 공급망 모델을 통해 소규모 소매업체 간 협력 공급망 모델의 가능성을 고찰

5

∙ 메타버스의 특성과 경제적 영향 분석 (McKinsey, 6)

소비자·경영진·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의 특성과 투자 흐름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관련 가치 포착을 위한 조치를 고찰

6

∙ ‘22년 글로벌 에너지 투자 전망 (IEA, 6)

- ’22년 글로벌 에너지 투자 규모는 주로 청정에너지 부문의 투자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8% 증가한 2조 4,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7

∙ 제조업의 국내 회귀·다원화 트렌드 (日 MURC, 6.10)

일본계 제조업의 설비투자 추이와 최근 국내 생산거점 마련 기업 사례 통해 국내 회귀·다원화’ 배경 요인을 분석

8

정책

동향

∙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 개최 (美 White House, 6.18)

독일·EU·일본·한국·인도 등 주요국은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경제국포럼(MEF)’에 참석해 각국의 기후 노력 강화 조치를 공유하고메탄 배출 감축 및 넷제로 자동차 보급 확대 등을 위한 미국의 다수 이니셔티브에 합류

9

∙ 미국 인재 파이프라인 챌린지 발족 (美 White House, 6.17)

인재 파이프라인 챌린지는 고용주의 교육·훈련 파트너십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양질의 인프라 재건·공급망·제조 일자리와 미국 노동자 간 연결을 도모

10

∙ 청정에너지 부문 스킬 공동 선언 (歐 EC, 6.16)

청정에너지 산업의 생산 증대 및 보급 확장에 필수적인 적격 인력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스킬·인력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를 도모

11

∙ 에너지 의존도 감축 및 녹색전환 촉진을 위한 EU 정책 정리 (歐 EC, 6.14)

역내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감축 및 글로벌 에너지 파트너십 촉진을 위한 EU 정책 조치를 개괄

12

∙ 유럽 공공 부문 AI 활용 현황 (歐 EC, 5)

유럽 공공 부문의 AI 도입 현황과 유스케이스를 분석하고 AI 구현 시 권장사항을 도출

13

∙ 중국 국가 기후변화 적응 전략 2035 수립 (中 생태환경부, 6.7)

- ’35년까지 기후변화 모니터링 예측 경보 역량을 세계적 수준으로 제고하고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방어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 수립

14

∙ 아세안·인도와 미··러 간 경제·군사 관계 분석 (日 제일생명경제, 6.10)

국제통화기금(IMF),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세안 국가 및 인도와 미국·중국·러시아 간 경제적·군사적 관계 양상을 고찰

15

∙ 러시아의 아프리카 정책 (日 일본국제문제연구소, 6)

러시아는 공식·비공식적 활동을 통해 자국 위상을 확대해 가고 있으며, ‘안전보장 수출’ 전략을 대아프리카 정책 카드로 중시

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