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고령화 시대의 진전과 생명과학 및 의학기술의 변화
- 등록일2023-02-16
- 조회수4290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2-03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고령화#노화
고령화 시대의 진전과 생명과학 및 의학기술의 변화
◈ 목차
1. 서론
2. 고령화 시대의 변화 양상
2.1. 인구 증가와 노화
2.2. 노화는 무엇인가: ‘노화는 질병인가’ 논쟁
2.3. 고령화 시대와 질병의 특성
2.3.1. 치매: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퇴화
2.3.2. 노인 증후군: 일관성 없고 나이와 느슨하게 연결
2.3.3. 웰다잉
3. 고령화 시대에 맞서는 생명과학 및 의학기술의 변화
3.1. 20 세기 생명과학과 의학기술의 특성
3.2. 21 세기 생명과학과 의학기술의 변화
3.2.1. 인간 세포 아틀라스 프로젝트
3.2.2.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
3.2.3. 유전자 표적화의 시대
3.2.4. 21 세기 생명과학과 의학기술의 특성
4. 고령화 시대의 생명과학 및 의료기술의 문제점
4.1. 과잉 의료와 약물 남용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
전 세계 인구(수)는 최고조와 고령화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현재 인구수는 80억 명인데, 2058년이면 100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가 빨라짐에 따라 2022년 중간 연령은 30.5세, 2050년 기대수명은 77.2세가 될 전망이다. 한국은 OECD 가입 국가들 중 노동 인구 대비 고령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060년이 되면, 노동 인구 100명 당 고령 인구수가 90명이 될 것이다.
노화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노화가 질병인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노화가 질병이 되면 의사의 부적절한 치료가 이어져 노년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고령화를 퇴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노화를 질병으로 간주하고 대처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노화는 질병 자체가 아니라 질병의 원인이라는 지적도 존재한다.
고령 인구에서 치매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치매로 인해 총체적인 인지 기능이 상실된다. 치매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건 알츠하이머병이다. 현재 인류는 왜 알츠하이머병이 나타나는지 그 원인을 모른다. 노인증후군은 치매부터 수면장애까지 다양한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노인증후군은 급성질환·만성질환에 수반되는 징후, 일상생활의 저하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증후군 등이 있다.
20세기 생명과학과 의료기술은 감염병에 대처하기 위해 질병의 원인을 ‘발견’하는데 주력했다. 1928년 항균제 페니실린의 발견은 가장 중요한 장면이었다. 지속적인 발견은 전염병 패러다임을 극단적 환원주의로 이끌었다. 21세기 생명과학과 의학기술은 인간 세포 아틀라스 프로젝트,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 유전자 표적화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 특성은 첫째, 생물정보학의 미래를 가늠하는 데이터의 폭발과 오픈소스의 지향이다. 둘째, 대규모 재원을 가진 장기 프로젝트의 출현으로 시스템을 통한 협업이 가능해진 점이다. 셋째, 생활습관에 기반 한 건강지표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가 도래했다. 넷째, DNA의 코드 해석·편집으로 합성생물학과 바이오경제가 일상화될 전망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2024-10-10
- BioINwatch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2024-05-09
- BioINpro [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2023-11-21
- BioINwatch 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2023-11-09
- BioINwatch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2023-09-19
동향